8일 통계청의 장래인구 특별추계 시도별 순이동 수(중위추계 기준)를 분석한 결과 2019∼2047년 서울·부산·대구·광주·대전·울산 등 주요 광역시에서는 일제히 인구가 순유출하고 도(道) 지역에서는 순유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합뉴스

2047년까지 순이동 15만 7000명 추산…2043년부터 자연감소 상쇄 못해
은퇴 후 귀향 성향 고령화 가속…사회적 부양 부담 등 경쟁역 약화 우려

제주 중장기 사회·경제 정책 수립에 있어 '인구 유입 전략' 차별화가 주문됐다. 집값과 은퇴 등의 요인에 따른 '역(逆) 이촌향도'경향의 인구 이동이 예고된 가운데 역풍이 클 것으로 우려됐다.

8일 통계청의 장래인구 특별추계 시도별 순이동 수(중위추계 기준)를 분석한 결과 2019∼2047년 제주 순이동 인구는 15만7000명을 파악됐다.

전국 17개 시도 중 서울·부산·대구·광주·대전·울산 등 주요 광역시에서는 일제히 인구가 순유출하고 제주 등 도 지역에서는 순유입하는 경향을 보였다.

주택 가격 부담 등으로 대도시에서 사람이 빠져나가고 지방으로 인구가 분산되는 때문이다.

지방 이동 인구의 성격에 차이가 문제다. 서울 순유출 인구 대부분은 경기와 인천 등으로 이동할 것으로 전망됐다. 핵심노동인구(25~54세)를 중심으로 상대적으로 교육·직업 등의 기회가 많은 대도시 주변을 벗어나지 않은 경향을 유지할 것으로 봤다.

반면 제주는 고령화 심화와 노인인구 증가 속에 은퇴 후 휴양과 귀농·귀촌 목적 이동이 상대적으로 많아 지역 경쟁력 약화와 사회적 부양 비용 증가 부담이 커질 수밖에 없는 구조다.

실제 제주의 경우 전체 인구수는 2042년까지 계속해 늘어날 것으로 전망했지만 2030년부터 출생아수가 사망자수를 밑도는 자연감소 현상이 나타날 것으로 봤다.

순이동 인구도 올해 1만명 수준을 유지하겠지만 지속적으로 감소해 2032년부터는 현재 절반 수준까지 떨어질 것으로 추계됐다. 2041년까지는 자연감소 분을 상쇄하는 역할을 하겠지만 2045년부터는 사회적 감소로 인한 영향까지 감안해야 할 것으로 분석됐다.

통계청 장래인구추계 자료대로라면 생산연령인구 100명이 부양하는 고령 인구를 의미하는 노년부양비는 올해 20.7명, 반대인 유소년부양비는 20.5명으로 균형을 이루겠지만 내년부터 역전돼 2045년 노년부양비는 69.1명, 유소년부양비는 19.7명으로 3배 이상 차이가 난다.

노령화지수 역시 내년 104.8로 처음 100대에 진입한 뒤 2031년 207.4, 2043년 305.1로 빠른 속도로 나이를 먹을 것으로 예측했지만 순유입인구를 감안할 때 더 빨라질 수 있다.

생산가능 인구 유입 전략이 절대적이지만 제주 여건상 여의치 않다는 점도 우려를 사고 있다.

한국은행제주본부의 '인구유입 변동이 제주지역 경제에 미치는 영향'브리프에 따르면 최근 순유입인구 감소 요인으로 제주 지역 내 소득창출과 취업기회가 감소, 부동산 가격 상승 등 정주여건 악화를 꼽았다. 특히 제주 지역내총생산(GRDP)이 인구와 밀접한 경향 등을 감안할 때 인구 순유입 규모 감소와 고령화로 인한 경쟁력 약화를 우려했다.

저작권자 © 제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