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15 정상회담 이후 남·북한의 이질성이 심화되지 않기 위해서라도(53.5%) 통일 교육은 꼭 필요하다(89.2%)고 여기는 반면 학교 통일교육에 대한 관심도는 높지 않은(65%) 것으로 나타났다.

 제주대 윤리교육과와 민주평통제주시협의회·제주도윤리과교육연구회·제주대 교육대학원 국민윤리 전공 동문회가 공동주최로 6일 오후 2시 제주대 교수회관에서 마련한 통일교육 담당교사 초청 학술대회에서 교사들은 이와 같이 입을 모았다.

 김홍선 교사(하원교)는 도내 통일교육 담당교사 306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조사를 바탕으로 ‘남북정상회담 이후 초등학교 통일교육의 실태와 활성화 방안’ 주제발표를 했다.

 김 교사는 “현재의 ‘통일교재’는 과거 단순 반공 이데올로기를 교육에서 탈피, 민족 동질성 및 통일에 대한 접근 방식으로 개선됐다”며 “하지만 이산가족·통일의 필요성·통일 후의 생활 등 구체적인 내용이 더 보완돼야 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또 김 교사는 “대부분의 교사들이 통일교육에 대한 관심도는 보통정도이며 통일연수 수강여부에서도 소극적인 게 사실이다”며 “통일교육이 활성화되려면 통일연수의 기회를 확대하는 등 통일에 대한 교사들이 관심이 중요하다”고 덧붙였다.

 이어진 ‘중학생의 통일의식 조사 연구’ 주제발표에서 김영민 교사(제주중)는 “도내 중학생 849명을 대상으로 통일의식을 조사한 결과, 응답자의 57.8%가 ‘상당한 기간이 걸리더라도 통일은 가능하다’고 응답해 통일에 대해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고 밝혔다.

 또 학생들은 북한을 방문하고 싶어하지만(83.3%), 북한에 대해서는 42.5%만이 ‘알고 있다’고 응답해 북한사회에 대한 구체적인 교육이 필요함을 시사했다.

 이와 함께 통일의 주체세대는 그동안 통일문제를 주도해 온 기성세대(7.9)보다는 자신을 포함한 미래세대(61.3%)가 돼야 한다는 의견도 압도적이었다.
저작권자 © 제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