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시 당산봉 일대 급경사지 정비사업을 두고 환경훼손 논란이 일고 있는 가운데 16일 김태경 제주시 안전교통국장 등 관계공무원이 사업추진 상황을 설명하고 있다.

2014년 풍수해저감종합계획 반영에도 공사중
환경훼손 논란 초래…경관 등 검토 부족 지적​

제주시가 당산봉 일대에서 진행하고 있는 급경사지 정비사업을 두고 환경 훼손 논란이 일고 있는 가운데 도내 급경사지 붕괴위험지역 정비가 허술하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5년 전 제주특별자치도 풍수해저감종합계획에 급경사지 정비방안을 반영해 사업을 추진하고 있는데도 아직까지 사업이 완료되지 않는가 하면 환경 훼손 논란까지 초래하고 있기 때문이다.

제주도는 지난 2014년 2월 제주특별자치도 풍수해저감종합계획을 수립했다.

이 용역보고서에 따르면 도내 급경사지는 제주시 23곳, 서귀포시 15곳 등 38곳으로 조사됐다.

이어 도는 행정시와 민간전문가 등이 참여하는 점검반을 구성, 2014년 4월 28일부터 5월 9일까지 급경사지 붕괴위험지역 38곳에 대한 안전점검을 실시했다.

이를 토대로 고산3지구와 남수각2지구, 사라봉지역을 급경사지붕괴위험지구로 지정해 정비사업에 착수했다.

하지만 5년이 경과한 지금까지도 고산3지구와 남수각2지구 등에 대한 정비사업은 완료되지 않은 상태다.

붕괴위험으로 인명 및 재산피해가 우려됨에 따라 사업을 추진했는데도 더디게 진행되고 있다는 지적이다.

더구나 당산봉 일대 고산3지구 붕괴위험지구 정비사업은 사면정비면적이 4002㎡로 환경 훼손 논란까지 초래하고 있는 실정이다.

제주시가 토질과 지질분야 전문가 사전실시설계 검토를 거쳐 사업범위 및 시공방법을 확정했다고 하지만 경관 등 환경 훼손 논란이 지속되고 있다.

지난 5년간 경관 등 환경 훼손 우려에 대한 검토가 부족했기 때문에 논란으로 번진 것 아니냐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이에 대해 김태경 제주시 안전교통국장은 16일 제주시청 기자실에서 “시추조사와 전문가 의견을 토대로 지형과 지질특성을 분석해 암반 비탈면 앞쪽에 낙석 방지망을 설치하고 토사 비탈면은 사면 정비하는 것으로 실시설계가 됐다”며 사업에 문제가 없다는 입장을 밝혔다.

또 “문화재 발굴 표본조사를 통해 구석기 시대 동물뼈가 확인됨에 따라 정밀발굴조사를 거쳤고, 오는 9월말까지 붕괴위험지역 정비사업을 완료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김경필 기자

저작권자 © 제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