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의 공약사업인 제주신항만 건설사업이 확정됐다. 정부는 지난 1일 이낙연 국무총리 주재로 열린 제86차 국정현안점검조정회의에서 오는 2040년까지 추진할 전국 12개 신항만 중장기 개발계획을 담은 '제2차 신항만 건설기본계획'에 제주신항만을 반영했다. 기본계획에는 제주신항과 함께 동해신항이 신규로 반영됐고, 부산신항 등 기존 10곳도 포함됐다.

제주시 삼도·건입·용담동의 원도심 해상에 들어설 신항개발사업에는 총사업비 2조8662억원이 투입된다. 재원별로는 국비 1조8245억원, 민간자본 1조417억원으로 짜여졌다. 전액 국비로 진행될 1차 사업은 오는 2023년 착공, 2030년까지 인프라 시설이 구축된다. 방파제·호안 외곽시설 4.9㎞, 15만~22만t급을 포함한 크루즈 4선석과 여객선 9선석 등 접안시설이 들어선다. 또 1988년 탑동2차개발 16만4000㎡의 7.8배에 달하는 해상 128만3000㎡가 배후부지로 매립된다. 

제주신항사업은 초대형 크루즈와 여객부두 일원화를 통해 연간 400만명의 관광객을 수용하는 해양관광 허브 인프라 구축이 목표다. 제주신항만건설사업이 정부계획에 반영되면서 첫 발을 내딛었지만 과제도 적지 않다. 무엇보다 1차 기반시설에 투입될 국비 확보다. 정부 예산권을 쥔 기획재정부가 제주신항만사업에 부정적이어서 중앙절충이 관건이다. 국비 확보가 실패하면 2차 민간자본 유치도 불투명질 수 밖에 없다. 

해상매립 과정에서 제2공항처럼 환경훼손과 인근 어장피해를 이유로 갈등이 심화되면 신항만건설사업 자체가 무산될 수 있다는 위기의식이 도민사회에 필요하다. 제주사회가 대립·분열하면 정부예산 투자의 우선 순위가 이번에 함께 반영된 동해신항만으로 옮길 수 있다. 도민들이 지역발전의 큰 틀에서 합의할 때 해상교통의 실크로드가 제주에서 열리게 된다.

저작권자 © 제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