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경필 사회부장

향후 10년 우리나라 폭염 위험도가 심각한 수준에 도달할 것으로 전망됐다. 

환경부는 최근 전국 자치단체 229곳을 대상으로 기상청의 기후전망 시나리오를 활용해 2021∼2030년 폭염 위험도를 5단계로 평가한 결과를 공개했다. 

폭염은 일반적으로 일 최고기온이 33도 이상일 때를 의미한다. 일 최고기온이 33도 이상 2일 넘게 지속될 것으로 예상될 때는 폭염주의보가 발령된다. 

평균 폭염일수는 1980년대 8.2일에서 1990년대 10.8일, 2000년대 10.4일로 증가추세다. 특히 지난해 폭염일수가 31.5일을 기록, 온열환자가 급증했다. 

2011년부터 2017년까지 연평균 온열질환자는 1131명으로 집계됐으나 지난해의 경우 온열질환자가 4526명이나 됐고 그중 48명이 목숨을 잃은 것으로 파악됐다. 

폭염이나 혹한 등의 위험도는 2014년 발간된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간 협의체' 제5차 보고서에 제시된 개념이다. 위해성과 노출성, 취약성 간의 상호작용에 의해 발생하는 영향 정도를 의미한다. 

정부의 온실가스 저감 정책이 상당히 실현되더라도 2021∼2030년 우리나라 폭염 위험도는 2001∼2010년 대비 크게 증가할 것으로 예측됐다. 

폭염 위험도가 '매우 높음' 지역은 19곳에서 48곳으로, '높음' 지역은 50곳에서 78곳으로 증가할 것으로 분석됐다. 반면 '낮음' 지역은 64곳에서 32곳, '매우 낮음' 지역은 16곳에서 6곳으로 감소할 것이라는 전망이다. 

이는 지구 평균기온 상승에 따라 일 최고기온 등 위해성이 증가하고, 고령화에 따른 65세 인구, 독거노인 비율 등 노출성이 증가하며, 도시화면적 비율과 같은 취약성이 증가하는데 따른 것이다. 

특히 현재 추세로 온실가스가 배출될 경우에는 '매우 높음' 지역은 19곳에서 72곳, '높음' 지역은 50곳에서 73곳으로 급증하며, '낮음' 지역은 64곳에서 19곳, '매우 낮음' 지역은 16곳에서 1곳으로 급감할 것으로 관측됐다. 

제주지역도 2001∼2010년에는 '보통' 지역이지만 2021∼2030년에는 '높음' 또는 '매우 높음'에 포함될 것으로 봤다.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정책 확대와 도민 참여가 절실하다.

저작권자 © 제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