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역 폐기물처리기반 구축 급제동

제주시 봉개매립장에 쌓여 있는 압축폐기물

요일별 배출제·읍면 음식폐기물 분리 배출 차질
동복리 광역소각장 가동 지장…조속한 협의 시급

봉개동쓰레기매립장주민대책위원회(봉개동대책위)가 19일부터 음식폐기물과 재활용쓰레기 등에 대한 반입 금지를 공표함에 따라 광역 폐기물처리기반 구축에 차질이 예상된다. 재활용품 요일별 배출제는 물론 읍·면 음식폐기물 분리 배출계획에 제동이 걸리게 됐고, 제주시 구좌읍 동복리 제주환경자원순환센터 가동에도 지장을 줄 우려를 낳고 있다. 

△요일별 배출제 등 차질

제주시 봉개동 재활용선별장 반입이 통제될 경우 당장 재활용품 요일별 배출제 시행에 영향을 줄 것으로 전망된다.

제주도는 2017년부터 쓰레기 처리난을 해소하기 위해 재활용품 요일별 배출제를 본격 시행했다.

재활용품 요일별 배출제는 플라스틱과 종이류 등 품목별로 배출 요일을 지정해 운영하는 것으로, 폐기물 혼합 배출과 클린하우스 넘침 현상 등을 해소하기 위해 도입됐다.

또 재활용품을 수거한 후 분리하기가 수월해지는 동시에 매립률 감소 등도 장점으로 꼽히고 있다.

하지만 봉개동 재활용선별장 반입이 제한될 경우 가정에서 재활용품을 분리 배출하더라도 수거하지 못하는 상황이 우려된다.

이와 함께 제주시 읍·면지역에서 혼합 배출되고 있는 음식폐기물과 가연성폐기물을 분리하기 위한 음식물계량장비(RFID) 설치계획도 차질을 빚을 전망이다.

제주시는 오는 10월까지 추자면과 우도면을 제외한 5개 읍·면에 RFID 814대를 설치해 읍·면에서 발생하는 음식폐기물을 분리 배출한다는 계획이지만 봉개동 음식물자원화센터 반입 처리를 위한 주민 협의를 거쳐야 하는 상황이다.

만약 주민 협의가 이뤄지지 못할 경우 5개 읍·면 RFID 설치계획은 추진하기 힘들 것으로 보인다.

△동복리 광역소각장 불똥

제주시 읍·면지역에서 발생하는 음식폐기물이 가연성폐기물과 분리 배출되지 못한다면 동복리 제주환경자원순환센터 광역소각장 가동에도 지장을 주게 된다.

제주환경자원순환센터 매립장은 242만㎥ 규모로 지난 4월부터 운영되고 있으며, 1일 가연성폐기물 500t을 처리할 수 있는 소각장도 오는 9월부터 시험가동을 거쳐 11월 준공될 예정이다.

만약 제주환경자원순환센터 소각장 준공 이전에 제주시 읍·면지역 음식폐기물이 분리 배출되지 못할 경우 소각장 성능 저하는 물론 악취 문제까지 발생할 수 있다는 지적이다.

이로 인해 동복리 주민들이 읍·면지역 생활쓰레기 반입을 금지하는 또 다른 사태로 이어질 수 있어 읍·면지역 음식폐기물 분리 배출은 당면 과제로 꼽히고 있다.

봉개동 폐기물처리시설에 대한 반입 금지가 장기화될 경우 각종 폐기물처리대책이 중단되거나 차질을 빚을 수 있는 만큼 조속한 주민 협의가 요구되고 있다.

도 관계자는 “제주환경자원순환센터 소각장은 9월부터 시험 가동 예정으로 준공 전까지는 음식폐기물이 혼합되지 않은 동지역 가연성폐기물을 반입해 처리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김경필 기자

저작권자 © 제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