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위원회 송창권 의원

올해는 3·1절과 임시정부 수립 100주년이 되는 해이다. 광복절은 74주년을 맞았다. '광복을 넘어 남북 평화통일과 진정한 독립'이 되고도 남을 시간이다.

그런데 아직도 일본 제국주의 식민잔재가 제주 교육 현장 곳곳에 남아 있다. 

교육감의 교육철학과 역사관에 따라 일제잔재 청산에 대한 입장이 다르고, 정권의 정치적 지형에 따라 들쑥날쑥 거리는 것은 매우 비교육적인 처사라고 생각한다. 

일시적이고 단편적인 계기교육 수준으로는 유·무형의 일제잔재를 청산할 수가 없다.

본 의원은 전국 최초로 '제주특별자치도교육청 일제강점기 식민잔재 청산에 관한 조례'를 대표 발의했다. 지난 6월 도의회 정례회에서 재석의원 전원의 찬성으로 본회의를 통과했다. 

의원으로서 도민들이 소망하는 의정활동에 부응한 것 같아 뿌듯하다.

앞으로는 교육청에서 추진하는 일제강점기 식민잔재 청산 활동이 지속적이고, 안정적이며 체계적으로 이루어 질 수 있게 되었다. 

마침 이석문 교육감이 지난 광복절 기념사에서 올 하반기에 '제주도교육청 일제식민잔재 청산위원회'를 구성하고 학교 현장에서의 의견수렴과 논의를 거쳐 차근차근 일제 식민잔재 청산을 추진해 나가겠다고 했다.

항간에 조례에 대해서 우려를 표하는 분들도 있었다. 어두운 역사도 우리역사의 일부분으로 없애는 것만이 능사가 아니라는 것이다. 교육현장에서 또 다른 갈등을 야기할 수도 있으니, 신중하게 접근해야 한다는 조언이었다.

'청산'이라는 용어 자체가 다소 과하게 들리지만, 단순히 유형적인 것의 폐기나 제거에만 있지는 않다. 

오히려 무형의 식민문화와 의식이 더 무섭고 소리 없는 무덤과 같다. 역사가, 교육자는 물론, 학생, 학부모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사람들이 참여해 충분한 논의와 숙의를 거쳐 일제식민잔재 청산에 대한 기준을 설정하고, 학교 현장에서는 별도의 차원에서 동문과 지역주민, 학부모 등이 다시 심사숙고해 결론을 짓고 추진하게 될 것으로 본다. 

교육현장에서의 비민주적이고 비교육적인 문화와 유형적인 것을 발굴해 내고 일제식민잔재에 대한 실태조사와 청산 지원 사업, 추진 실적을 평가하면서 진행될 것으로 기대한다.

그래서 대한민국의 진정한 광복을 누리고 후세에 길이 전해 질 수 있어야 하겠다. 이념에 매몰되지 않고, 인류보편적인 진리에 기초한 민족의 자존과 정체성을 지켜서 '번지 있는 교육'으로 거듭나야 하겠다.

일제식민잔재 청산은 잘못된 과거를 들춰내려는 문제가 아니다. 미래로 나아가기 위해 우리 앞에 있는 장애물을 청산하여 역사를 바로 세우려는 큰 교육의 의미를 담고 있다.

저작권자 © 제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