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내 해양쓰레기가 성상별 분리 없이 혼합 수거되면서 폐기물처리시설 반입이 제한되고 있으며, 이로 인해 민간업체 처리비용 부담이 가중되고 있다. 사진은 제주시 동지역 해양쓰레기 집하장.

지난해 전국 첫 도입 수거-운반-집하 3단계 구성
중간집하장 13곳 중 제주시지역
현대화 5곳 불과
종합건조선·재활용 선별시설 국비 불발 사업 차질

청정 제주바다가 해양쓰레기로 몸살을 앓으면서 제주도가 전국 최초 '원스톱 제주형 수거·처리 시스템'을 구축했지만, 시설 확충이 이뤄지지 않아 제대로 기능을 하지 못하고 있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도에 따르면 제주지역 해양쓰레기 수거량은 2014년 5600t, 2015년 1만4475t, 2016년 1만800t, 2017년 1만4062t, 지난해 1만2412t으로 지난 5년간 5만7349t이 수거됐다.

이에 따른 처리비용은 2014년 20억3400만원, 2015년 25억9900만원, 2016년 35억7000만원, 2017년 61억100만원, 지난해 64억400만원 등으로 매년 막대한 처리비용이 들고 있다.

도는 현재 '제주형 해양쓰레기 수거·처리시스템 구축' 등을 골자로 하는 '연안오염 총량관리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제주형 해양쓰레기 수거·처리시스템은 지난해부터 제주도가 전국에서 처음으로 도입한 사업으로, 수거와 운반, 집하 등 3단계에 걸쳐 해양쓰레기를 처리하는 시스템이다.

도는 올해 청정바다지킴이 152명을 수거단계에 투입했고 국비 2억원을 추가로 지원받아 32명을 모집할 계획이다. 

운반 단계에서는 해양쓰레기 전용운반차량 19대를 가동해 청정바다지킴이가 수거한 쓰레기를 중간 집하장으로 옮기고 있다. 

하지만 청정바다지킴이가 1일 수거하는 쓰레기양도 1.3t에 이르는 등 막대한데다, 중간집하장 대부분이 재래식 창고나 공터에 조성돼 악취발생과 미관저해 등 민원이 속출하고 있다.

현재 도내 해양쓰레기 중간 집하장은 13곳으로, 이 가운데 현대화 사업을 완료한 집하장은 제주시지역 5곳에 불과하다.

게다가 해양쓰레기 염분을 제거하는 탈염 작업과 파쇄, 압축 등을 수행하는 해양자원 재활용 선별시설은 작년 기본계획이 수립돼 올해 본격 추진될 예정이었지만 국비 확보가 불발되면서 지연되고 있다. 

폐어구, 괭생이 모자반 등을 해상에서 수거하는 해양폐기물 종합정화선도 사정은 마찬가지다. 

도는 지난해에 이어 올해 국비 지원을 요청했지만, 성사되지 않으면서 사업추진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시설 확충을 위한 국비 확보가 이뤄지지 않아 해양쓰레기 처리 능력이 한계에 달하면서 국비 확보를 위한 중앙절충력 강화, 논리 개발 등 대안 마련이 요구된다.  

제주도 관계자는 "현재로서는 중간집하장 현대화 시설을 위한 예산 확보가 절실한 상황"이라며 "염분이 많은 해양쓰레기는 부식 등 문제로 매립장 반입이 제한되고 있는 만큼, 재활용 선별시설과 종합건조선 사업 국비확보를 위해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제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