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4·3연구소 지난 27일 4·3평화기념관서
‘제주 4·3 연구 30년기념 도민 공감대 확산을 위한 세미나’ 개최
30년 역사를 되돌아볼 수 있는 전시도 11월 3일까지

제주시 용담동의 한 쌀집 2층에서 창립식을 갖고 여러 압력에 폐관될 수 있었지만 어느덧 30년이 됐다. 자기만의 방도 없이 떠돌았지만 '4·3의 진실은 우리가 밝힌다'는 결기와 함께 분노, 해학, 웃음과 함께 했다.

제주4·3연구소(이사장 이규배, 소장 허영선)는 지난 27일 4·3평화기념관에서 제주4·3연구소 창립30주년 기념 '제주4·3연구 30년, 성과와 과제'라는 주제로 세미나를 열었다.

이 자리에선 4·3연구소의 지난 30년을 돌아보고, 아직 해결하지 못한 문제를 확인해 앞으로 나아갈 방향을 확인했다.

이규배 이사장은 "어찌 보면 이제야 청년인가 싶기도 하다"고 소회를 밝혔다. "그 동안 연구소의 모든 사람들은 동굴과 지하에 묻혀있던 학살의 진실들을 드러냈고, 먼지 가득한 창고 속에서 각종 기록들을 꺼내기도 했으며, 기억 저편으로 숨겨뒀던 비극의 증언들을 채록했다"며 그 동안의 성과를 소회했다.

하지만 이제 시작이라며 이 자리에서 지난 30년을 되돌아보고, 다시 출발하는 자리여야 한다고 말했다.

김영범 대구대학교 교수는 '기억과 비극속의 4·3, 정명은 가능한가'라는 발제로 4·3의 올바른 '정명(正名)' 해결을 우선적으로 제시했다.

4·3은 제3자, 외부인의 관점이 아닌 내부인, 토종 제주인, '변방' 등의 관점에서 볼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당시 제주는 '빨갱이 섬'으로 몰렸지만 제주도민이 '반탁지지'를 표명한 사실을 볼 때 조선공산당의 입장과 상반됐다. 이는 남북이념이 아니라 제주만의 다른 사상을 주장한 것으로 풀이된다. 오래 전부터 공동체문화가 자리 잡은 제주는 당시 공산주의가 아닌 '자유사회주의'로써 독자 노선을 걸었다. 당시 도지사를 포함해 공무원까지 총파업에 동참한 것은 남로당, 공산당 등 좌익세력만의 것이었거나 그들 뜻대로 발생했다고 보아선 절대 안 된다고 주장했다.

신탁통치를 찬성한 중앙정부와 공산당과는 달리 일장기가 내려간 곳에 태극기가 아닌 성조기가 걸린 것을 보고 진정한 자주독립을 외쳤을 뿐이라는 해석이었다.

또한 4·3이 발생한 것에 대한 이유 중 하나로 제주도가 미국에서 '지극히 전략적인 위치의 요충지'로 지목됐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당시 미국언론에서도 제주도가 '1급 전략적 위치' '(미래)해군기지' '함대 기항지' 등으로 표현했다.
제주는 지정학적 이점이 돋보였고 군사적으로 전략적 가치가 매우 높은 지역이었기 때문에 당시 통위부 고문관 로버츠 준장은 조병옥 경무부장과 송호성 경비대사령관에게 "미국은 제주도가 필요하지 제주도민은 필요치 않다. 제주도민을 다 죽이더라도 제주도는 확보해야 한다"라고 말했다고 한다.

이에 미국의 책임있는 사과와 대책 또한 필요하다는 의견에 힘이 실렸다.

기조발표 후 박찬식 제주4·3연구소 이사의 진행으로 허호준 한겨레 선임기자, 김은희 제주4·3연구소 연구실장, 오승국 제주4·3평화재단 사무처장, 강남규 제주민주화운동사료연구소 이사장 등이 발표하고 자유 토론 시간을 가졌다.

4·3은 지난 30년 힘든 시간을 보냈지만 정명과 책임자들의 응당한 처벌 등 과제가 아직 남아있음을 확인할 수 있는 자리였다.

한편 제주4·3연구소는 이번 세미나와 함께 4·3평화기념관에서 11월 3일까지 '서른 해의 기억과 기록' 특별전을 개최하고 있다. 우종희 기자

저작권자 © 제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