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재청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국립제주박물관 공동 조사

지난 30일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가 제주도청에서 기자회견을 개최한 가운데 고미경 서울공예박물관 학예연구사가 신창리 해역에서 발굴된 유물들을 설명하고 있다.

제주 신창리 바다에서 중국 남송(1127~1279) 시대 인장(印章)과 인장함이 나왔다.

문화재청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와 국립제주박물관은 올해 4월부터 6월까지 공동으로 제주시 한경면 신창리 인근해역을 조사한 결과, 우리나라에서는 처음으로 중국 남송대 인장 두 과(顆)와 인장함을 발굴했다고 30일 밝혔다.

인장과 인장함. (문화재청 제공)

인장과 인장함은 해저에 있는 바위 사이 모래를 제거하는 과정에서 발견됐다. 인장들은 선박에 타고 있던 상인이 사용한 것으로 추정된다. 두 과 모두 목재로 만들어졌다. 이 중 한 과는 높이 2.3㎝로, 정사각형의 몸체에 손잡이가 있다. 도장 면에는 ‘謹封(근봉)’이란 글자가 새겨져 있다. 근봉이 ‘삼가 봉한다’는 의미인 것으로 볼 때, 해당 인장은 서신을 발송할 때 봉투에 찍거나 물건을 포장하고 그 위에 찍는 용도로 추정된다. 도장면에 새겨진 글자 획 사이에는 붉은색 인주까지 일부 남아있는 상태다. 한국 인장 중에도 ‘근봉’ 글자가 새겨진 것들이 있으나 주로 조선 시대 것들이다.

또 다른 인장은 높이 2.2㎝로, 도장면에 길상무늬를 새긴 초형인(肖形印)이다. 문양은 크게 위아래로 구분되는데 상부는 동전 모양으로 추정되나 명확하지 않으며, 하부는 정확한 무늬나 글자를 확인하기 어려운 상태다.

인장함은 조각으로 발견돼 원래 형태를 완전히 알 수는 없다. 다만 사각형 몸체에 뚜껑이 있었을 것으로 추정되며 납과 주석으로 만들어졌다.

제주 신창리 수중유적은 1983년 3월 해녀가 물질 작업 중 발견한 금제장신구를 신고하면서 처음 알려졌다. 같은 해 4월 당시 문화재관리국에서 수중조사를 진행해 추가로 금제장신구 2점을 발굴했고, 1997년 제주대박물관에서 이 해역을 추가 조사하면서 중국 남송 시대 도자기(청자)를 확인했다. 이들은 푸젠성에서 제작된 것도 있지만, 대부분 ‘저장성 룽취안요’에서 제작된 청자들이었다.

이번 조사에서도 도자기 조각 400여점이 발견됐다.

저작권자 © 제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