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봉철 디지털편집팀 차장

2020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11월 14일)이 2주일 앞으로 다가왔다. 

원활한 시험 시행을 위해 제주도교육청과 유관기관들은 도내 14개 시험장 학교를 대상으로 소방안전 및 전기안전, 가스 등에 대한 사전 점검에 나서고 있다.

듣기평가용 방송시설을 점검하는 것은 물론 시험 당일에는 시험장 주변 자동차·응급차량 경적이 금지되고 시험시간 만큼은 소음을 유발하는 공사도 자제토록 요청한다. 또 관공서 등은 출근 시간을 오전 10시 이후로 조정하며, 시내버스 운행도 오전 이른 시간대 집중 배정하는 등 여느 해와 마찬가지로 총력 대응 태세다.

물론 이날 치러지는 시험이 수험생들의 인생에서 매우 중요한 순간이고, 사소한 실수로도 수험생에게 돌이킬 수 없는 피해를 입힐 수 있기 때문이다.

대학 입학을 위한 정책으로서 바라보면 수능은 1945년 이후 60여년간 16차례나 입시제도가 바뀐 끝에 시행되고 있는 제도다.

대략 4~5년마다 입시제도가 바뀌다보니 대입 변천사는 일일이 열거하기 어려울 정도지만 핵심적인 내용은 세가지 요소로 이해할 수 있다.

국가가 주관하는 '국가고사'와 대학이 자체적으로 치르는 '대학별 고사', 고등학교 교육과정을 평가하는 '고교내신'이다. 우리나라 대입제도는 이 세가지 요소들을 어떻게 조합하느냐에 따라 이름을 바꿔온 셈이다.

시기적으로는 1945년~1980년 예비고사기, 1981년~1993년 학력고사기, 1994년부터 수능 이후기로 나눌 수 있다.

하지만 학력고사의 문제점을 개선하겠다며 도입한 수능도 사교육 과열과 대학서열체제 고착화 등의 문제점은 해결하지 못했고, 학생부종합전형(학종)을 비롯한 수시전형이 수능 위주의 정시전형보다 큰 비중을 차지하면서 위상도 줄어들었다.

지난 25일에는 정부가 정시 전형 비중을 확대하겠다는 계획을 밝히면서 교육계를 뜨겁게 달구기도 했다.

유은혜 부총리 겸 교육부장관은 이날 "학종과 논술 위주 전형 쏠림 현상이 심한 서울 소재 대학은 정시 수능 위주 전형 비율을 상향 조정할 방침"이라며 구체적인 상향 비율과 적용 시기를 11월 중 발표하겠다고 밝혔다.

부모에 의한 특권과 불평등한 교육제도를 과감히 개선하겠다는 취지지만 학교 교육과정의 파행과 문제풀이 중심의 수업이라는 해묵은 문제가 다시 드러날 것이라는 일각의 반발도 타당한 면이 있다.

입시제도를 손질해도 사교육이 줄어들기는 힘든 만큼 이제는 학력에 따른 임금 격차나 대학 서열화, 비정규직 등 사회 구조적인 문제에 대한 해결방안에 집중할 시기다.

저작권자 © 제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