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65세 이상 치매 환자는 2018년 기준 75만명으로 유병률 10.16%를 기록 중이다. 중앙치매센터는 치매 환자 수가 2024년에 103만명(유병률 10.37%)에서 2039년 207만명(〃 12.30%), 2050년에 303만명(〃 16.09%)으로 급증할 것으로 추계하고 있다.

치매가 발병하면 신체적·경제적 부담 등으로 가족이 해체되는 상황에까지 이르는가 하면 치매로 인한 사회적 비용 또한 엄청난 수준에 달하고 있다.

이에 따라 정부는 치매를 국가가 책임져야 할 사회 전체의 문제로 인식, 치매 예방에서부터 의료·돌봄·사회서비스에 이르기까지 국가가 주도하는 치매국가책임제를 시행하고 있지만 치매 환자와 가족이 체감하는 고통은 여전하다.

제주가족연구원이 지난 주 제주도근로자종합복지관에서 '초고령 사회에서 치매정책의 방향과 과제'를 주제로 개최한 '2019 제2차 여성·가족정책포럼'에서 발표된 조사결과에서도 이런 현실이 고스란히 드러났다.

정여진 제주가족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제주지역 치매노인 부양가족의 서비스 욕구 실태와 정책과제'를 통해 최근 6개월동안 치매노인을 돌보고 있는 주부양자 446명을 대상으로 면접조사한 결과 111명(24.9%)이 실직경험이 있다고 응답했다고 밝혔다. 또 총 돌봄기간은 평균 4년 1개월, 하루 평균 돌봄시간은 9.6시간으로 집계됐다.

이 때문에 부양자들은 시간·신체·심리적 부담과 함께 교우나 가족행사는 물론 장보기를 비롯한 일상적 외출에도 어려움을 겪는 등 사회활동에조차 많은 제약을 받고 있다.

정부와 지자체는 치매 예방에 소요되는 행·재정적 지원을 확대하고 재가노인복지시설 운영을 활성화하는 등 치매로 인한 사회적 비용을 최소화하는데 진력해야 할 것이다.

저작권자 © 제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