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0년 빈도 홍수량 급증 범람 위험 고조

환경부 산정결과 최대 161% 증가…정밀진단용역 반영
대규모 하천 정비 과제…막대한 비용·기반시설 걸림돌

제주시 도심 하천 범람 가능성이 과거에 비해 대폭 커진 것으로 분석돼 대책이 요구된다. 하천 홍수량이 최대 161%나 높게 산정되면서 대대적인 하천 정비가 필요하지만 막대한 비용과 기반시설 등이 걸림돌이 될 전망이다. 

△하천 홍수량 대폭 증가

제주시는 2017년 3월부터 17억1000만원을 투입해 하천 등 시설물 정밀진단용역을 추진하고 있다.

2016년 태풍 ‘차바’로 제주시 하천 주변 주택과 차량이 침수되는 등 많은 피해가 발생하자 재해예방대책을 마련하기 위해 비법정 용역으로 추진하게 됐다.

시는 이 용역을 통해 제주시내 지방하천 8곳과 저류지 14곳 등을 조사하고 복개구조물 철거여부 등 재해예방대책을 마련키로 했다.

그런데 환경부가 최근 전국 하천유역 홍수량을 100년 빈도로 산정한 결과 제주시 지역 하천 홍수량이 기존보다 급증, 대대적인 하천 정비계획 수정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100년 빈도 하천 홍수량은 100년에 한번 가장 많이 내릴 수 있는 비의 양을 의미하는 것으로 제주시 27개 하천 중 26개 하천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중 대룡소천 홍수량은 현재 69㎥/s에서 180㎥/s로 161% 급증했고, 광령천은 507㎥/s에서 1083㎥/s로 114%, 도근천은 940㎥/s에서 1895㎥/s로 102% 증가했다.

특히 범함 피해가 우려되는 한천 역시 499㎥/s에서 832㎥/s로 67% 증가했고, 병문천도 378㎥/s에서 491㎥/s로 30% 늘어나는 등 범람 가능성이 과거에 비해 커진 것으로 분석됐다.

제주시는 환경부가 산정한 전국 하천유역 홍수량을 정밀진단용역에 반영해 재해예방대책 등을 수립한다는 계획이다.

△하천 정비계획 수정 불가피

이처럼 하천 홍수량이 과거에 비해 급증하면서 지금의 하천을 대대적으로 정비해야 하는 실정이다.

홍수량이 늘어난 만큼 하천 폭을 넓히거나 재해예방시설을 보강해야 하는 등 후속조치가 필요하다.

하지만 이미 구축된 도시기반시설 등으로 하천 폭을 넓히는데 한계가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재해예방시설을 보강하는데도 막대한 예산이 소요될 것으로 보여 하천정비계획을 실행으로 옮기기가 쉽지 않을 것으로 관측된다.

하천 범람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는 복개구조물 철거도 10년 넘도록 논의만 하고 있기 때문이다.

하천 재해에방대책은 시민들의 생명 및 재산과 직결되는 사안인 만큼 적극적인 대책 수립과 이행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제주시 관계자는 “저류지 기능 강화 등을 통해 하천 홍수량 증가에 따른 대책을 마련해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김경필 기자

저작권자 © 제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