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시 도심 하천의 범람 가능성이 커지고 있어 걱정이다. 환경부가 최근 전국 하천유역 홍수량을 100년 빈도로 재산정한 결과다. 100년 빈도 하천 홍수량은 100년에 한번 가장 많이 비가 내릴 때 하천에 유입되는 초당 비의 양이다. 기후변화 영향 등으로 물폭탄급 집중호우가 잦아지면서 이에 대비해 강화된 재해예방·관리를 위함이다. 이에 따르면 제주시 하천 27곳 중 26곳의 홍수량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환경부가 실시한 제주시 하천유역 홍수량 재산정 결과를 보면 대룡소천의 경우 기존 초당 69㎥에서 180㎥로 161%나 급증했다. 광령천은 507㎥에서 1083㎥로 114%, 도근천은 940㎥에서 1895㎥로 102% 늘었다. 특히 범람 피해가 우려되는 한천은 기존 499㎥에서 832㎥로 증가했는가 하면 병문천도 378㎥에서 491㎥, 산지천은 222㎥에서 265㎥로 늘면서 집중호우나 태풍 등이 발생했을 때 범람 위험도 그만큼 커졌다. 

이처럼 하천 홍수량이 과거보다 대폭 늘면서 이에 따른 하천 정비계획이 요구된다. 하천 폭을 넓히거나 대대적인 재해예방시설 보강 등이 필요하지만 현실적으로 쉽지 않아 보인다. 제주시 도심 하천 주변에 이미 구축된 도시기반시설 등으로 하천 폭을 넓히는데는 한계가 있다. 하천 범람 원인으로 지목되는 복개구조물 철거도 10년 넘도록 논의만 되풀이하는 실정이다. 여기에 막대한 예산까지 실행에 걸림돌이 한두가지가 아니다. 

그렇다고 마냥 미적거릴 일이 아니다. 당장 하천 복개 구조물 철거가 어렵다면 저류지 기능 강화 등 다른 대안을 서둘러 모색해야 한다. 안그래도 제주는 태풍의 길목인데다 국지성 집중호우도 잦아지면서 이로 인한 피해가 속출하고 있다. 기상이변으로 앞으로 그 빈도는 더욱 높아질 것이다. 하천 재해예방은 도민들의 생명 및 재산과 직결되는 만큼 보다 적극적인 대책 마련에 나서야 한다.

저작권자 © 제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