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산 마늘 수입 피해는 마늘농업에 끝나지 않는다. 감자·양배추·양파·당근 등 모든 밭작물의 몰락을 초래함으로써 이농현상에 의한 농촌붕괴로 이어지는 등 심각한 문제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

국내산 마늘가격 하락을 우려한 재배농가들이 타 작목으로 전환할 경우 해당 작목의 과잉생산으로 연결되는 등 밭작물 동반붕괴가 불가피하기 때문이다.

지난해 북군지역의 양배추 가격폭락 원인은 과잉재배에도 있지만, 이면에는 정부의 맥주보리 수매량 감소정책과 마땅한 대체작목이 없는 부적지 감귤원 폐원정책이 자리하고 있다.

암반·화산회토로 이뤄진 토질로 대체작목이 거의 없는 실정에서 그나마 소득이 안정적인 감자·양배추·양파·당근 등 밭작물의 일시적인 대량 재배로 과잉생산을 초래, 농가소득이 불안정하기 때문이다.

일반작물의 경우 지난 90년 각각 1만332ha·9332ha에 이르던 콩·보리재배면적은 2001년 8745ha·3092ha로, 유채·참깨는 5200ha·5107ha에서 1729ha·2063ha로 대폭 줄었다.

반면 감자는 6019ha로 90년 2779ha에 비해 갑절이상 늘었고, 마늘과 당근도 각각 90년 1911ha·1047ha에서 3578ha·2258ha로 급증세를 보이고 있다.

90년 각각 437ha·789ha의 양파·양배추도 951ha·1281ha로 크게 늘어났다.

특히 97∼2001년의 부적지 감귤원 폐원면적 482.1ha의 78.7%에 이르는 380ha가 일반작물과 채소작목이 입식, 겨울채소 집중화를 부채질하고 있다.

송종헌 북군청 농정과장은 “마늘가격 안정대책만으로는 중국농산물 수입에 따른 농촌위기를 극복할수 없다”며 “감자 등 5대작물에 편중된 작부체계를 개편, 경쟁력이 없는 작목은 다른 작목으로 전환하도록 주요 작목별 적정재배 목표가 이뤄져야 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제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