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형소매점지수 2015년 기준 0.2포인트 ↓…경기 둔화·온라인 등 영향

(사진=연합뉴스)

대형소매점지수 2015년 기준 0.2포인트 ↓…경기 둔화·온라인 등 영향
사드 보복 영향 2017년 대비 판매액 감소, 인구.세대당 의존도는 높아

제주 지역 내 ‘시장’은 커졌지만 대형소매점 판매액은 줄어드는 등 환경 변화에 크게 흔들린 것으로 분석됐다.

호남지방통계청이 3일 발표한 ‘최근 3년간 대형소매점 판매 동향’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기준 제주지역 대형소매점 판매액은 5400억원으로 3년 전인 2015년 5123억원과 비교해 5.4% 증가했다. 전국 평균 증가율 2.6%에 비해 갑절 이상 늘었다.

판매액은 늘었지만 정작 도·소매업 사정은 좋지 않았다. 2015년을 기준(=100)으로 지난해 대형소매점 판매액지수는 99.8로 0.2포인트 떨어졌다. 같은 기간 인구가 62만4000명에서 66만7000명으로 6.9% 늘어난 것을 감안하면 실질 적자폭은 커진 셈이다.

실제 전국 9개 시도 중 경기도와 세종시 효과를 입은 충청남도는 인구와 판매액지수가 동반 상승했다. 인구가 늘었는데도 판매액지수가 감소한 곳은 제주를 포함해 충청북도·경상남도 등 3곳으로 인구증가대비 감소 폭은 제주가 가장 컸다.

특히 2017년을 고점으로 위축되는 등 체감 적자 부담은 더 컸을 것이라는 분석이다.

제주 대형소매점 판매액은 2016년 전년 대비 388억원 늘어난 5511억원을 기록하는 등 가파른 성장을 보였다. 2017년도 5571억원으로 현상유지를 했다. 실제 2016년만 306만1522명이 제주를 찾으며 지역경기를 쥐락펴락 했던 중국인 관광객이 사드(THAAD) 보복 조치인 한한령(한류 규제)로 2017년 74만7986명으로 75.5%나 줄었지만 나름 선방했다.

하지만 지난해 5400억원으로 전년 대비 171억원이나 감소하는 등 상대 구매력에 있어 지역 경기와 소비 환경 변화에 민감한 모습을 보였다.

반면 1인당·세대당 판매액은 9개 시도 중 경기도 다음으로 높아 지역상권 의존 정도를 가늠케 했다.

지난해 제주도민 1인당 대형소매점 판매액은 80만원으로 경기(120만원) 다음으로 높았다. 세대당 판매액도 190만원으로 가장 많은 경기(300만원)의 뒤를 이었다.

저작권자 © 제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