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지석 취재1팀장

민주주의를 가장 이상적인 정치 체제라고 한다. '민중의 지배(Democracy)'라는 민주주의의 어원에서도 볼 수 있듯이 민주주의는 사회 구성원들이 주요 사항에 직접 참여해 결정하는 제도다. 

그러나 영토가 넓고 인구가 많은 오늘날의 국가에서는 사회의 모든 구성원이 한 곳에 모여 의사 결정을 내리는 것이 불가능하다. 

또한 주요 결정 사항의 내용도 복잡하고 전문화되면서 전문가가 필요해졌다. 그래서 사람들은 대표자를 선출하고 선출된 대표가 의사 결정을 내리는 대의 민주주의를 실시하게 됐다. 이렇게 특정 집단이나 조직에서 대표를 뽑는 것을 '선거'라고 한다.

우리나라의 원시 공동체에도 씨족회의나 종족회의가 있어서 촌장이나 씨족장 같은 대표자를 선출하거나 해임하는 제도가 있었다.

삼국 시대에는 백제의 정사암회의, 신라의 화백회의, 고구려의 제가회의에서 국사를 논하고 재상을 선출했다. '

'삼국유사'에는 서라벌의 여섯 개 촌장이 촌족원을 이끌고 알천안산에서 대회를 열어 여섯촌을 통솔할 군장으로 박혁거세를 선출했다.

고려 시대 초기에는 만장일치제를 따르다가 후기에는 다수결에 의하여 운영되는 도병마사가 있었고, 조선 시대에는 정책 결정 과정에서 왕의 독단을 방지하기 위하여 의정부가 있었으며, 향촌의 자치 규약인 향약에는 유림 중에서 향약정과 임원들을 선출하는 제도가 있었다.

21대 국회의원 선거(2020년 4월15일)를 5개월 정도 앞두고 있는 가운데 제주지역 정가의 분위기는 예전과 사뭇 다르다. 

내년 21대 총선 출마가 줄을 잇고 있다.

제주시 갑 선거구에서는 출마선언이 이어지면서 총선 초반 분위기를 끌어올리고 있다.

제주시 을과 서귀포시 선거구에서도 후보군들이 출사표를 준비하면서 총선 경쟁구도의 윤곽이 서서히 드러나고 있다.

제주도와 도민들을 위해 헌신하겠다며 출사표를 던지는 인사들이 많은 만큼 이번 선거에서 도민들의 올바른 선택이 중요하다. 

제주도를 발전시킬 인사를 뽑아야 한다. 

공천 과정에서 도민 여론을 제대로 반영해야 한다. 

제주도민들은 그동안 보수와 진보를 두루 경험하면서 의식이 높아졌다.

내년 총선에서는 인물도 살펴보고, 정책도 챙겨보고, 적절한 평가를 할 것으로 기대해 본다.

저작권자 © 제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