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교통수단 잠정 포기 버스중앙차로제 확대 초점

교통난 심한 국립박물관-광양로터리-해태동산 추진 논란 클듯
노형오거리 지하차도 회전교차로 등 4가지 입체교차로 안 검토
대중교통 분담율 20% 넘는 2023년 이후 신교통수단 도입 가능 

제주특별자치도는 최근 '제주특별자치도 도시교통정비 중기계획'(2019~2023년)을 확정·고시했다. 내년부터 △대중교통 △주차장 건설 및 운영 △수요관리 정책 △광역도로망 △신교통수단 △운영·첨단·교통행정 등 11개 분야의 현황 분석과 장래 교통정책의 목표 및 방향 등이 담겨있다. 특히 이번 계획에서 동서광로 등에 대한 버스중앙차로제 확대사업이 포함되면서 차량혼잡과 정체가 더욱 심해져 교통난이 가중될 것이라는 우려도 나오고 있다. 

△버스중앙차로제 동서광로 확대

제주지역의 대중교통 이용을 활성화하기 위한 대책으로 버스중앙차로를 현행 중앙로(광양사거리-아라초 사거리) 구간에서 동서광로(제주국립박물관-무수천사거리) 일부구간까지 확대 신설된다.

하지만 현재 동서광로는 출퇴근시간대만 적용되는 대중교통 가변차로제를 도입만으로도 차량정체가 심각한 상황이다. 여기에 일반차량 도로면을 더욱 잠식하고, 24시간 통제되는 중앙차로제 확대시 교통혼잡은 더욱 심각해질 수밖에 없다.

도는 동서광로 중앙차로제 1단계 사업으로 2020년까지 서광로 3.0㎞ 구간(광양로터리-해태동산)에 버스중앙차로를 구축하며, 2단계로 동광로 약 2.1㎞ 구간(광양로터리-국립제주박물관)으로 확대한다. 또한 중앙로 역시 1.8㎞ 구간(아라초~달무교차로)에도 버스중앙차로를 신설할 계획이다.

그나마 도는 버스중앙차로 운영으로 극심한 교통 혼잡이 우려되는 도령로와 노형로 구간은 공항우회도로를 신설한 이후 구축할 예정이다.

△노형오거리 입체화 추진

이번 교통정비 중기계획에서 노형오거리는 교통량 대비 용량이 부족한 상황으로, 대중교통 우선차로로 인한 용량 부족과 평화로 우회도로와 공항우회도로가 개통한 이후에도 교통불편이 예상됨에 따라 입체화 대상에 선정됐다.

제주도는 4가지 대안을 제시했으며, 대안1(지하차도)은 현 교통체계를 유지하면서 노형로(한라병원-노형초 방면) 440m 구간에 4개 차로의 지하차도를 건설한 뒤, 노형초 앞 사거리 교차로를 폐쇄하고 보행육교를 신설하는 방안이다. 

대안2(지하차도+회전교차로+대중교통환승)의 경우 노형로 440m 구간에 4개 차로의 지하차도를 개설한 뒤, 왕복 4차로의 회전교차로와 버스정류장을 건설하는 방식이다.

대안3(지하차도+일방통행)은 지하차도를 건설하고, 노형오거리에서 연동사거리를 잇는 노연로 방면 일부 구간을 일방통행으로 전환하는 방안이다. 연동에서 노형 방면 130m 도로를 폐쇄하고 인도로 전환해 노형에서 연동 방면으로만 차량운행이 가능하도록 하는 방식이다.

대안4(지하차도+회전교차로+입체횡단시설+대중교통환승)는 대안2에 횡단보도가 아닌 입체횡단시설을 설치하는 방식이다. 

△신교통수단 2023년이후로 검토 연기

제주도는 그동안 트램 등 신교통수단 도입을 검토했지만 민선 7기 원희룡 도정 임기 내에는 추진하지 않기로 결정했다. 

제주도는 트램 등 신교통수단을 도시교통정비 중기계획에 포함하지 않았다. 

신교통수단은 교통계획 중간보고까지도 검토내용이 포함됐고, 제주 제2공항 지역발전계획. 제주관광산업 중장기 발전계획 등에서도 신교통수단 도입 필요성이 언급되는 등 제주교통의 중요 정책 중 하나였다. 

하지만 도는 도시정비 중기계획을 최종 확정하면서 신교통수단의 경우 2018년 현재 대중교통 수송 분담율이 14%에 머물고 있는데 제주도는 수송 분담율이 20%에 도달할 경우 도민의견 수렴, 타당성 검토 등의 절차를 거쳐 추진할 계획이다.

대중교통 수송 분담률 20% 도달 목표 시점인 2023년 이후에 신교통수단 도입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 때문에 신교통수단 추진은 사실상 민선 7기에는 불가능하고, 2023년 이후에 재논의가 이뤄질 것으로 보인다.

한편 교통중기계획을 추진하기 위한 재원은 총 3조3043억원으로 국비 9500억원, 지방비 2조2519억원, 민간 1023억으로 추산됐다.

저작권자 © 제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