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화경 제주국제대학교 교수·융복합관광센터장·논설위원

제주경제와 관련된 부정적 통계가 잇따라 발표되고 있다. 

통계청이 잠정집계한 '2018년 지역소득'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제주지역의 지역내총생산(GRDP)은 19조9109억 원으로 전년 대비 0.4%(전국 평균은 2.8%) 감소했다. 제주경제가 마이너스 성장을 기록한 것은 13년 만에 처음 있는 일이다. 1인당 지역내총생산도 전국 평균의 83% 수준으로 9개 도 지역 중에서 전북에 이어 두 번째로 낮았다. 제주지역 근로자 평균 연봉 역시 3123만원으로 전국 평균연봉인 3650만원에 훨씬 못 미친다. 

관광과 농업에 편중돼 있는 제주도 산업구조의 문제점이 여실이 드러났고, 제주의 지속 성장이 크게 위협받고 있는 대목이다. 제주도민 삶의 질을 제고하고, 지역산업의 효율성 확보를 위해서 새로운 기술을 기반으로 한 신성장 동력을 발굴하는 것이 그 어느 때 보다 더욱 절실하게 되었다. 

제주의 산업 생태계를 획기적으로 바꾸면서 제주도민을 먹여 살릴 수 있는 미래 먹거리를 어디서 찾아야 할까? 신기술 혁신에 근거한 '인간의 편리함' 추구는 여전히 유효적절한 방법이다. 

자율주행차는 이미 상용화가 시작되었고, 빅 데이터와 5G, 인공지능(AI) 플랫폼이 만들어 내는 새로운 글로벌 세상은 현실이 되고 있다. 국가 차원이나 제주도 입장에서도 4차 산업혁명은 이전에 없던 기회임에 틀림없다. 관광과 감귤, 광어양식에 매달리고 있는 제주도로서는 말 그대로 다른 지자체를 뛰어 넘어 미래 산업을 선도할 수 있는 혁신의 기회가 될 수 있다. 

물론 제주도가 융합 신산업 창출 등 3대 전략 29개 과제를 골자로 한 제주형 4차 산업혁명 추진 계획 수립과 관련 조례 제정 등 발 빠른 움직임을 보이고 있는 것은 평가할 만하다. 그렇지만 가시적인 성과를 조기에 도출해내기 위해서는 보다 과감한 드라이브를 걸어야 한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한결같은 견해다.

규제완화를 통한 투자와 혁신이 우선이며, 일하는 방식은 더욱 개방돼야 하고, 이를 추진할 인재의 양성이 가장 시급한 현안이다. 4차 산업혁명 시대는 전통적인 노동자와 구별되는 인재가 필요한 만큼 양질의 일자리 창출이라는 목표 아래 인재양성을 서둘러야 한다. 제주연구원 자료에 의하면 제주의 R&D 혁신역량이 전국 지자체 중 12위에 그치고 연구인력, 기관, 연구개발비가 전국의 0.2~0.3%에 불과한 실정이다. 프랑스의 '에꼴 42'를 서울에 이어 제주에서 시작해야하는 이유이다. 

또한 제주도 주도하에 콘텐츠와 지원 기능을 결합한 R&D단지 조성을 제안한다. 노후화된 구도심에 도시재생형 R&D단지를 만든다면 도심활성화에도 기여할 수 있어 일석이조가 될 수 있다. 이러한 인프라 분야뿐 아니라 실제 산업에의 접목 노력도 서둘러야 한다.

제주의 청정자연환경을 기반으로 헬스케어와 사물인터넷(IOT)의 융합을 통해 육아부터 안티에이징까지 온오프를 통합하는 '디지털 메디컬 플랫폼'구축을 구체화하는 것도 그중의 하나다. 더불어 인공지능, 로봇, 바이오, 3D Food, Farm2Family 기술을 통한 스마트농업의 재발견은 새로운 일자리 창출의 원동력이 된다. 

관광 비즈니스의 집합체인 스마트관광은 필수적이다. 제주도가 검토 중인 데이터센터 건립 등 하드웨어 분야와 제주관광 체험형 6차산업화 플랫폼 구축 등도 시급하다 할 것이다.

무엇보다 4차 산업혁명 전략을 성공으로 이끌기 위한 제주도 차원의 로드맵과 함께 도민의 공감대 형성이 전제조건이다. 제주연구원이 올해 초 도민을 대상으로 실시한 여론조사에서도 4차 산업혁명에 대한 도민들의 관심(80%)과 기대(83%)는 크지만 제주의 미래가 밝다는 응답은 51%에 그치고 있어 아쉬움을 주고 있다.

혁신은 타이타닉호 갑판의 의자를 재배치하는 게 아니다. 결과와 성과를 만들어내겠다는 절박함과 책임윤리를 기대해 본다.  

저작권자 © 제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