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감귤산업의 컨트롤타워라 할 수 있는 감귤출하연합회가 제기능을 하지 못하고 있다. 농산물 수입 개방 확대와 경기침체에 따른 감귤 소비량 감소 등 급변하는 시장에 발맞춘 대책을 내놓지 못하면서다. 감귤출하연합회 핵심 인력인 사무국장이 공무원 일색으로 채워지는 것은 물론 재임기간도 짧다보니 시장변화에 대응한 정책·기획이 불가능한 실정이다.  

감귤출하연합회는 감귤 품질관리 및 출하정보 수립관리·유통정보시스템 운영, 출하신고 확인·미신고 행위의 지도 단속을 목적으로 1997년 설립됐다. 농·감협 생산자단체와 농업인·상인 단체 등 33개 기관이 참여하고 있다. 문제는 출하연합회가 설립된지 20여년이 지났지만 기능은 여전히 출하 중심에 머물고 있다는 것이다. 이로인해 급변하는 시장환경에 대응한 소비자 중심의 유통 업무 강화 등에 한계를 보이고 있다.

감귤출하연합회가 변화하는 시장에 제대로 대처하지 못하는 것은 전문성 부재가 큰 원인으로 지적되고 있다. 감귤출하연합회 업무를 총괄하는 사무국장의 경우 역대 25명 전체가 공무원으로 파견 발령됐다. 제주도가 민간위탁금 형태로 연간 운영예산의 90%를 지원하다보니 인사 때마다 승진·전보 등 인사 숨통용으로 전락하고 있는 것이다. 더욱이 이 중 농업직도 4명에 불과해 감귤 업무와 무관한 시설·행정직이 독식하고 있다. 재임기간도 평균 1년이 안될 만큼 교체가 잦아 업무 연속성과 책임성도 떨어진다. 

지금 제주감귤이 처한 상황은 녹록지 않다. 올해산 노지감귤은 도매시장 경락가격이 생산비에도 못미칠까 걱정하고 있을 정도다. 감귤산업의 핵심조직인 감귤출하연합회의 역할도 어느 때보다 중요해지고 있다. 그런 만큼 감귤출연합회 사무국장에 전문가 우선 영입이 필요하다. 또 굳이 공무원을 발령해야 한다면 시설·행정직이 아닌 최소 2년 이상 근무할 수 있는 농업직을 배치하는 인사 시스템 변화가 요구된다.

저작권자 © 제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