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도가 야심차게 추진했던 감귤혁신 5개년 계획이 용두사미로 끝났다. 도는 2015년 8월 '제주감귤 혁신 5개년 추진 세부실행계획'을 발표했다. 2019년 12월까지 5년간 6098억원을 투입해 정책·생산·유통·홍보·마케팅 등 4개 분야 8대 핵심과제 73개 사업을 추진하는 계획이다. 감귤 생산·유통구조 혁신 등을 통해 감귤 경쟁력을 강화하겠다는 것이었지만 처음 요란했던 시작과 달리 지난 5년 동안의 결과물은 미흡하기 짝이 없다.

유통구조 혁신만 봐도 그렇다. 도는 2018년부터 농·감협을 통한 계통출하량을 70%로 확대해 산지 중심의 유통구조를 만들겠다고 밝혔다. 하지만 2018년 감귤 유통처리 현황을 보면 농·감협 계통출하량은 전체 60만7638톤 중 31%인 19만757톤에 불과했다. 2015년 37%에서 오히려 6%포인트 낮아진 수치다. 또 상인단체 출하량도 2015년 6만8560톤에서 2018년 8만7407톤으로 늘어 민간 유통상인 출하량 축소 계획도 실행되지 않았다.

그런가 하면 전자상거래 형태의 감귤거래소 설치계획도 발표됐지만 별다른 진척을 보이지 못했다. 농산물 홈쇼핑 채널 신설을 통한 새로운 유통경로 확대사업 등도 흐지부지되기는 마찬가지다. 이뿐만 아니라 감귤 품종과 작형별 특화단지 조성, 부적지 감귤원 폐원지 약용작물 시범사업, 감귤 활용 의약 및 향장품 생산 산업화 등도 지지부진한 상태로 5개년 계획 주요사업들 대부분 실행되지 못했다. 

제주감귤 혁신 5개년 계획은 마무리됐지만 감귤산업은 5년 전과 크게 달라진 것이 없다. 이런 가운데 제주도는 5개년 계획 후속대책으로 '미래감귤산업 50년 발전전략'을 마련했다. 5년내 감귤 조수입 1조원 시대를 열어나가겠다는 것이지만 농가에서는 현실성이 떨어진다는 지적이 벌써부터 나오고 있다. 장밋빛 청사진만 잔뜩 늘어놓는 계획을 백날 세워봐야 아무 소용이 없다. 중요한 것은 실행력을 높이는 것이다. 

저작권자 © 제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