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 운영' 방향 잡고, 역량강화는 후순위로

'컨트롤타워' 실무협의회 운영, 보수불균형 해소 시도
운영비 편성 확대, 단체별 정원 개편안 등 반영 안돼

제주도립예술단 운영 활성화를 위해 '컨트롤 타워' 역할을 할 실무위원회가 구성된다. 직급체계와 보수규정을 단일화하는 구상도 제시됐다. 하지만 '통합'이라는 목표를 이루기에는 여전히 과제가 산적한 상황이다.

△통합 활성화 중장기 과제로

제주특별자치도는 최근 '도립예술단 활성화 및 중장기 발전방안' 용역 결과를 토대로 관련 조례안 개정안을 입법예고했다.

단체별 특성을 감안한 '제주도립예술단 활성화 운영계획'도 제시했다.

중장기 발전 과제의 핵심인 '통합 운영'은 실무위원회에 역할을 맡기기로 했다. 지난해 진행한 용역에서 조직 개편과 '통합 사무국'운영 의견이 제시됐지만 기계적 통합에 따른 단체별  평정 기준이나 운영 방식을 일일이 반영하기 어렵다는 점을 고려했다.

대신 연 2회 이상 실무협의회를 열어 단체별 편차를 줄이고, 통합 작업은 전문인력 확충을 통해 장기적으로 진행한다는 복안이다.

급여·수당 등 단체간 보수 불균형 문제는 8급에서 6급까지 10년마다 자동으로 1급씩 승급하는 제도를 신설해 직급체계와 보수규정을 단일화하는 것으로 해소하기로 했다.

지금까지 무용단 수석은 6급, 차석 7급, 상임단원 8급인데 반해 제주·서귀포예술단의 수석·차석·상임단원 모두 8급으로 이에 따른 보수 불균형 문제가 제기돼왔다.

사무국 정원을 현행 12명에서 15명으로 늘리는 등 단체간 특성과 전문성 강화에 무게를 실었다.

△도민 문화 향유 접근 부족

이번 운영계획에는 '통합'이란 큰 그림은 그렸지만 실제 공연에 필요한 예산이나 단체별 정원 조정 등 예술단 역량 강화 등 현실 과제는 후순위로 밀려 아쉬움을 샀다.

제주도립예술단의 지난해 총 예산 136억원 중 인건비만 125억원이다. 공연 등 관람객과 접점을 이루는 부분에 쓰인 운영비는 인건비 대비 3% 수준인 3억8000만원에 불과했다.

타지역에서 운영비 비중을 늘리고 있는 것과는 차이가 크다. 실제 광주광역시립예술단은 전체 예산의 26%(2018년 기준), 강원도립예술단도 20%(〃)를 운영비로 쓰고 있다. 특히 인건비가 매년 증가하는 상황에서 전체 예술단 운영비가 계속해 줄어드는 문제를 해소하기 위한 논의가 시급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도민의 문화 향유'라는 운영 목적에 맞춰 예술단의 역량을 강화해야 한다는 주문도 이번 계획에는 충분히 반영되지 않았다. 제주교향악단의 3관 편성 확대를 위한 증원이나 정원 대비 58.4%에 불과한 도립무용단의 인원 확보 방안은 검토되지 않았다.

지휘자 위촉 때마다 논란을 샀던 기준 역시 도는 2년 후 재위촉하고 횟수에 제한을 두지 않는 현행을 유지하기로 하는 등 추가 보완이 주문됐다.

저작권자 © 제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