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택 2020 제주의 미래아젠다 20' <10> 제주의료체계 및 감염병 방역체계

제주한라병원 제주권역응급의료센터 모습. 자료사진

상급의료기관 없어 매해 13만명 대도시 등 원정 진료
인구 10만명당 전문의 서울 절반 간호인력 유출 심각
코로나19 사태 도내 감염병 대응체계 강화 필요성 대두

△제주 의료기관 불균형 심화

제주도는 섬이란 고립된 지형적 특성상 응급 및 중증환자 발생시 도내에서 진료와 치료가 가능하도록 보다 세밀한 의료기반 구축이 필요하다. 

제주도내 의료기관 현황을 보면 제주시에 위치한 의료기관의 수는 1차 병원 647개, 2차 병원 20개다. 서귀포의 경우 1차 병원 207개, 2차 병원 4개에 불과하다.  

병원 수를 지자체별 인구수에 대비할 경우 제주시는 1차 의료기관과 2차 의료기관 1곳당 수혜인원은 각각 781명, 2만5251명이다.  

더구나 2018년 기준 제주도민 13만9610명이 육지 병원으로 원정진료를 한 것으로 파악됐다.
원정진료 도민들이 지출한 진료비만 1353억원에 달한다. 2010년 510억원에서 2018년 1353억원으로 2배 이상 급증했다. 여기에 환자와 동행하는 가족들의 항공료·체류비까지 포함한다면 제주 환자들의 진료비 지출 부담은 훨씬 더 클 수밖에 없다.

전국의 상급종합병원은 42개이지만 제주는 울산 세종 경북과 더불어 상급종합병원이 없는 지역이다.

여기에 의사의 서울 쏠림 현상이 심화되면서 제주지역 의사수는 서울의 절반 수준에 그치고, 전공의 등 인력확보에도 어려움을 겪고 있다.

보건복지부에 따르면 2018년 전국 17개 시·도중 인구 10만명당 의사 수가 가장 많은 지역은 서울로 300.8명이었다. 제주는 170.4명으로 전국에서 8위를 차지했지만 서울에 비하면 56% 수준이다.

도내 간호대학 졸업자 가운데 취업 현황을 보면 2017년 290명 중 도내 178명(61%)·도외 113명(39%), 2018년 308명 중 도내 181명(59%)·도외 127명(41%) 등 도내 간호인력 유출이 이어지고 있다.

△코로나19로 감염병 방역정책 중요성 강조

올해 들어 전국적으로 코로나19가 확산되면서 감염병 방역체계의 중요성이 또 다시 부각되고 있다. 특히 제주의 경우 지역내 코로나19 등 감염병이 확산될 경우 타 지역으로 환자이송이 어려워 감염병 방역차단과 함께 도내 음압병상 등 의료인프라 및 전문인력 확충이 반드시 필요하다. 

코로나19 제주지역내 확진자가 11일 현재 4명으로 타 지역에 비해 감염병 방역·대응에 있어 선전하고 있다.

하지만 한번 유입시 감염병은 순식간에 확산되는 특성이 있기에 안심할 수 없고, 항상 감염병 대유행에 대비한 대책이 시급하다.

코로나19 확진자 등 감염병 환자를 수용할 수 있는 음압격리병실은 제주대병원 8실·9병상, 서귀포의료원 3실·3병상, 한라병원 4실·4병상, 중앙병원 1실·1병상 등 민간시설을 합쳐도 16실·17병상에 불과하다. 이 가운데 입원 치료가 가능한 음압병실은 11개뿐이다.

그나마 코로나19 사태가 터지자 제주대 병원 음압병상을 13개로 늘리는 등 2015년  메르스(중동호흡기증후군) 사태 이후에 제주도 감염병 대응체계가 개선되지 못했다. 

도는 대구·경북처럼 지역사회 감염으로 사태가 확대될 경우를 대비해 제주대병원 4층 병동을 개조해 33개의 병실을 추가할 수 있다고 밝혔지만 해당 병실은 음압병실이 아니기 때문에 단순 격리만 가능하다.

원칙적으로 선별진료소마다 이동식 X선 촬영장비가 구축돼 의심환자를 신속히 검사할 수 있어야 한다. 하지만 코로나19 유행 초기에는 이동식 X선 촬영 장비를 배치하지 못했고, 상당기간 지나서야 선별진료소 7곳에 구입 예산을 교부하는 등 대응체계 문제점도 드러났다.

저작권자 © 제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