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년에 다시 규명되는 4·3의 진실

4·3당시 가장 인명피해(538명)가 많았던 제주읍 노형리가 1950년대 재건된 모습. 자료사진

4·3재단 2003년 정부조사 후 '4·3 추가진상보고서 1권' 발간 
전체희생자 1만4442명 및 마을별 피해 상세조사 구체적 기술
행불 피해자도 4255명에 달하고 군·경·우익단체 피해도 조사

제주4·3 당시 50명 이상 희생된 집단학살 사건이 전역에서 26건이 발생한 것으로 조사됐다. 또한 4·3당시 행방불명 수형인도 4000명으로 넘는 것으로 확인됐다.

제주4·3평화재단은 지난 2003년 정부의 '제주4·3사건 진상조사보고서'가 발표된 후 16년만에 '제주4·3 추가 진상조사보고서 1권'을 발간했다고 밝혔다.

이번 추가진상조사보고서에는 4·3 당시 12개 읍면 165개 마을(리)의 피해 상황에 대한 전수조사 결과가 담긴 것이 특징이다. 2019년 12월 기준 희생자로 확정된 1만4442명에 대해 가해자 구분, 피해 형태, 재판 유형, 유해수습 여부 등에 따라 모두 18개 유형으로 분류해 자세히 기술하고 있다.

제주4·3평화재단은 희생자 1만4442명 및 마을별 피해를 확인하는 등 추가진상조사 과정에서 한 장소에서 50명 이상 피해를 당한 '집단학살 사건'이 도전역에서 26건이나 발생해 2981명이 희생된 것으로 확인됐다. 

또한 행방불명 희생자 피해 조사결과, 4·3 행방불명 희생자는 현재 4·3위원회가 확정한 3610명보다 645명이 많은 4255명에 이르고 있다.

1949년 훈련을 받고 있는 제주읍 노형리 민보단원들. 이승만 정부는 민간인들을 '민보단원'으로 편성해 군·경 토벌작전에 동원했다.

1950년 한국전쟁 직후 발생된 예비검속 피해 조사에서 희생자 566명의 신원을 확인했고, 이 가운데 유해발굴 과정에서 40명, 구금 중이거나 고문 후유증으로 희생된 13명 등 모두 53명의 행적이 확인됐다. 

교육계의 4·3 피해는 교원 271명, 학생 429명 등 총 700명의 인적 피해와 93개 학교의 교육시설 및 학교운영 손실 등의 물적 피해가 발생한 것으로 조사됐다.

또 군·경·우익단체의 4·3 피해는 군인 162명, 경찰 289명, 우익단체원 640명 등 모두 1091명으로 파악됐다. 지난 2003년의 보고서에서 밝힌 1051명(군인 180명, 경찰 232명, 우익단체 639명)에 비해 군인은 줄어든 반면 경찰 피해자는 다소 늘어난 것으로 조사됐다.

마을별로 가장 피해가 많았던 노형리 희생자는 종전 544명에서 538명으로, 북촌리는 419명에서 446명으로, 가시리는 407명에서 421명으로 재분류됐다. 김용현 기자 

저작권자 © 제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