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4·3은 진실을 찾기 위한 도민사회의 노력으로 많은 성과를 이뤄냈다. 무엇보다 2000년 1월 '제주4·3사건 진상규명 및 희생자 명예회복 특별법'의 공포로 어둠속에 묻혔던 진실이 드러났다. 또 2003년 국가차원의 '4·3 진상조사 보고서' 확정에 이은 대통령 공식 사과, 평화공원 조성, 2014년 국가추념일 지정 등 왜곡된 역사를 바로잡는 발판을 마련했다.

4·3 진상규명 노력이 성과를 얻었지만 완전한 해결에는 미치지 못하고 있다. 특히 2003년 정부가 확정한 '4·3 진상조사보고서'는 추가 진상규명의 과제를 던졌다. 정부가 4·3의 성격을 완전히 규명하지 못한 '사건'으로 표기하자 도민사회는 명확한 진상규명을 요구했다. 이에따라 정부는 완전한 4·3 해결을 위해 국가차원의 추가 진상조사를 약속했다.

특히 정부 약속 16년만에 추가진상조사보고서가 발간되면서 4·3의 완전한 해결 노력도 진일보했다. 4·3특별법에 따라 설립된 제주4·3평화재단은 최근 발간한 '제주4·3사건 추가진상조사보고서' 제1권를 통해 4·3 당시 12개 읍·면 165개 마을의 구체적 피해실태를 상세히 조사, 진실규명에 한걸음 더 다가섰다는 평가다. 군·경 토벌대 및 무장대에 의해 마을당 50명 이상씩 집단학살된 26건·2981명의 실체를 확인하고, 미신고 4·3희생자 1200여명도 찾아냈다.  

추가진상조사의 성과에도 불구하고 완전한 4·3해결에는 아직도 미흡하다. 예비검속 희생자에 대한 신원·행적 확인과 행방불명인 조사·유해발굴, 양민학살 진압작전 지휘체계 및 미국 책임 규명, 4·3성격 규명의 '정명(正名) 찾기' 등 과제가 수두룩하다. 정부는 추가 진상조사가 자신들의 약속인 만큼 평화재단이 더 많은 진실을 찾아 4·3의 성격을 규명할 수 있도록 예산·인력 등 행·재정적 지원을 아끼지 말아야 한다.

저작권자 © 제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