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4·3이 올해로 72돌을 맞이한 가운데 지난달 30일부터 4·3 주간이 시작됐다. 예년 같으면 4·3 희생자를 추모하는 행사가 도내·외에 이어졌지만 올해는 코로나19의 비상사태로 행사가 취소·연기되거나 열리더라도 축소됐다. 밀접한 접촉이 일어나는 실내에서 행사를 치를 경우 코로나19 집단감염이 우려되는 탓이다. 정부·지자체 역시 코로나19를 극복하기 위한 사회적 거리두기에 총력을 집중하고 있다. 

내달 3일 봉행될 4·3 국가추념식도 축소됐다. 행사를 주관할 행정자치부와 제주도, 4·3유족회는 올해 72주년 추념식 참석자를 유족·행사 관계자 등 150여명로 제한할 방침이다. 예년 1만5000여명이 참석했던 것과 비교하면 대폭 줄었다. 그감염병에 취약한 노인층과 만성질환자, 도외 인사들의 참석을 제한했다. 또 예년처럼 3월말부터 제주민예총이 2개월간 진행할 4·3문화예술축전도 연기됐다. 

제주4·3 행사의 축소·연기로 아쉬움이 없지 않지만 완전한 해결을 위한 도민사회의 실천은 과제로 남아 있다. 2000년 1월 '제주4·3특별법'이 공포되면서 진상 규명, 희생자·유족 명예회복등 많은 성과를 이뤄냈지만 보수단체의 폄훼로 시련도 적지 않았다. 대표적으로 보수단체들은 4·3희생자 결정 무효화와 ·3특별법을 부정하는 6건의 소송을 2009년부터 제기했지만 2012년 패소, 법정공방도 마무리됐다.

보수단체의 소송이 마무리됐지만 완전한 4·3해결을 위한 과제도 산적하다. 희생자·유족에 대한 국가의 배·보상 등 도민사회의 숙원을 담은 4·3특별법 개정안의 국회 처리는 물론 4·3성격 규명을 위한 추가 진상조사도 시급한 실정이다. 코로나19로 추모 분위기가 다소 가라앉았지만 화해·상생의 4·3 정신을 토대로 평화·인권의 소중함을 전 국민과 세계 시민에 알려나가는 작업은 현 세대의 몫이다.

저작권자 © 제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