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 지역 과잉생산·조기출하 가격 약세 전망 선제적 대응 확대 필요
지난해 7월 효과 미미…4월 중 수매 비축 실시 대정부 건의문 채택

생산농가들이 올해산 제주 마늘 처리를 서둘러 줄 것을 정부에 요청했다. 지역 차원의 수급 조절 만으로는 가격 지지가 힘들다는 판단에 대정부 건의문까지 채택하는 등 올해 마늘 처리도 쉽지 않을 것을 예고했다.

농협 제주지역본부(본부장 변대근)와 마늘제주협의회(회장 이창철 대정농협 조합장)는 최근 총회에서 '마늘 수매비축 4월 중 실시'를 내용으로 한 대정부 건의문을 만장일치로 채택하고 농림축산식품부에 전달했다고 8일 밝혔다.

제주 마늘 재배면적은 5년간 계속해 감소 추세다. 올해 마늘 생산량은 1943㏊·3만t 규모로 평년 대비 9% 정도 줄어들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제주에 한정해 봤을 때 생산량 감소에 따른 가격 상승 기대가 높았지만 타 지역 마늘 재배 면적이 늘어난 데다 식습관 변화 등의 영향으로 소비가 줄어들며 예상외 약세에 허덕였다.

농식품부와 농협에 따르면 제주를 제외한 타 지역 마늘 재배면적은 2017년 이후 증가하며 올해 평년 대비 2% 늘어난 2만5000ha, 생산량도 31만2000t에 이를 것으로 추산됐다.

따뜻한 겨울까지 변수로 작동했다.

지난해도 날씨 영향으로 생산량이 늘고 출하까지 빨라지며 조생 처리가 끝나기 전중·만생종이 시장에 유입되며 전체 가격을 끌어내렸다. 마늘과 양파가 동시다발적으로 가격 약세에 시달리는 상황에서 정부 차원의 전략적 수급 조절 시책이 5월에야 시행되면서 생산 농가들의 불만을 샀다.

심지어 제주산은 처리와 관련한 세부 계획이 7월에야 확정되며 저장 등에 상당한 비용이 소요되는 등 부담이 컸다. 물량도 700여t으로 홀대론까지 제기됐다.

올해 역시 마늘 수확 시기가 평년에 비해 10여일 정도 더 빠를 것으로 전망되면서 정부 차원에서 3월 선제적 재배 면적 조절에 나섰지만 가격을 지지하는 데는 역부족인 상황이다.

실제 주산지에서 밭떼기 거래가 거의 이뤄지지 않는 등 마늘 농가의 걱정이 커지고 있다. 통상적으로 마늘 수확을 전후해 집중됐던 정부 수매 요청이 올해 한달 정도 빨라진 것도 이런 위기감을 반영했다는 분석이다.

저작권자 © 제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