딜레마 빠진 제주 에너지정책

[제민일보 자료사진]

전력생산량 570만㎿/h 중 외부연계선 180만㎿/h 31.6% 차지
전력자립도 73%뿐 지난해만 연계선 6건 고장 대정전 위험 상존 

제주도와 정부는 가파른 상승세를 보이는 도내 전력소비추세에 대응하는 동시에 저탄소 에너지 정책기조를 강화하기 위해 신재생 발전(發電)단지 조성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하지만 내부와 외적인 문제로 차질을 빚고 있으면서 '신재생자원을 통한 전기 생산·공급 자립 실현'이란 제주에너지 정책이 딜레마에 빠질 우려를 낳고 있다.

제주도와 한국전력거래소에 따르면 2019년 기준 제주지역 전력설비용량은 1868㎿이다. 이중 제1연계선로(제주시 삼양동-전남 해남군)과 제2연계선로(제주시 해안동-진도군) 등 2개 해저케이블 4개 회선 전력설비용량은 400㎿로 21.7%를 차지하고 있다.

제주도는 2030년까지 신재생자원을 통한 전력자립 실현하는 카본프리아일랜드(CFI 2030)를 2012년부터 추진해 풍력·태양광 전력설비 비중을 높였다. 

이에 도내 신재생에너지 설비용량은 풍력 290㎿, 태양광 261㎿, 기타 9㎿ 등 560㎿로 전체의 29.9%를 차지하고 있다.  

하지만 지난해 제주지역 전기생산실적은 572만60㎿/h이며, 이 가운데 외부연계선을 통한 전력공급(HVDC, 초고압직류송전)는 180만7934㎿/h로 전체의 31.6%를 차지하고 있다. 전력설비용량 비중보다 10.1%포인트나 상회하는 등 외부의 전력의존도가 높은 상황이다.

한국전력 분석결과에서도 지난해 제주도는 지역내 발전량이 395만7000㎿/h인 반면 판매량은 537만4000㎿/h로 141만7000㎿/h의 전기를 타 지역서 공급받았다.

제주지역 전력자립도는 73.6%에 불과하다.

도내 전력생산량 중 30%를 외부에서 의존하면서 제주지역은 불안정한 상황이다. 연계선로 고장 등으로 인해 수만가구가 동시다발적으로 정전사태가 벌이지는 경우가 적지 않았기 때문이다.      

연계선 고장실적은 2018년 7건, 지난해 6건 등을 포함해 2015년부터 5년간 21건이 발생하는 등 블랙아웃(대정전) 위험이 항상 상존해 있다.

이 때문에 제주지역내 자체 전력설비용량을 확충해 완벽한 전력자립도를 실현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저작권자 © 제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