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도청 평화대외협력과 이환준

코로나 책임공방으로 미중대립이 더 심해지는 모양새다. 제2 무역전쟁은 물론이고 미중 신냉전의 우려까지 낳고 있다. 하나의 공동체를 외치던 유럽도 마찬가지다. 브렉시트, 난민유입에 코로나 대유행까지 더해지면서 분열의 위기를 맞았다. 이렇듯 국가 간 외교는 날로 복잡해지면서 갈등은 더욱 깊어지고 있다.

하지만 지방공공외교는 조금 다르다. 국제교류의 주체로서 외교를 주도하는 것은 지방정부의 역할이기에 중앙정부가 나설 수 없는 부분은 지방도시 간 외교를 통해 해법을 찾을 수 있다.

제주의 경우, 코로나 발생 초기에 인도적 차원에서 중국의 자매·우호도시에 마스크를 긴급 지원하는 발 빠른 행보를 보였고, 이어 한국의 코로나 위기 시 중국으로부터 마스크를 지원받아 상호우의와 협력을 다진 바 있다.

세계보건기구(WHO)의 팬데믹 선언 이후에는 제주의 자매·우호도시들을 매일 모니터링하며 확진자 수가 급증하는 도시에는 지사 명의 위로 서한문을 전달하여 유대관계를 강화하였고 필요시 구호물품지원의 적절한 대응체제를 유지하고 있다.

국내 코로나 신규 확진이 안정세를 이어가면서부터는 세계지방정부연합 웹사이트에 도의 코로나 대응모범사례를 지속적으로 게재하여 회원도시들과 공유해 나가고 있다. 또한 드론을 활용해 가파도에 공적마스크를 배송하는 시범 프로젝트의 드론 출발지인 환태평양평화공원은 제주가 주도하는 국제협의체의 대표적인 장소로 코로나 극복을 위한 신산업기술 활용이라는 상징적 의미를 추가하면서 얼어붙었던 국제협의체 활동에 새로운 활기를 불어넣고 있다.

이제는 포스트 코로나를 준비해나갈 때다. 코로나는 여행, 무역, 금융 전반을 제한시켜 반세계화의 흐름을 만들어버렸다. 원격의 시대, 제주는 인터넷 플랫폼을 기반으로 화상회의를 추진하고 도의 코로나 대응 사례를 체계화하여 웹 공간을 통해 교류할 수 있는 시스템도 갖춰나갈 계획이다.

디지털 인프라 수요가 증가한 만큼 양질의 온라인 교류활동 콘텐츠 발굴이 코로나시대의 과제이면서 동시에 지방정부의 공공외교기능을 강화해나가는 기회이기도 하다. 전염병이 몰고 온 세상, 국가 간 갈등은 더욱 심해질 것이다. 하지만 지방공공외교는 계속된다.

저작권자 © 제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