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財)테크 또는 재무테크(financial technology)란 용어는 몇 해전부터 유행되기 시작해 지금은 보편화 됐다. 이 용어는 원래 기업에서 재무활동의 기법을 고도화한다는 뜻을 지니고 있다.

당초 재테크란 용어가 나온 곳은 일본 대기업이다. 경영 여건이 달라져 경상적인 경영으로는 흑자를 유지키 어렵게 된 대기업들이 기업성장의 새로운 돌파구를 마련키 위해 개발한 것이 재테크이다. 재테크는 기업에서만 아니라 국가적인 차원의 금융정책에 활용되기도 한다. 또한 개인이나 가계에서 저축수단으로 이용되고 있다.

한 때 기회를 엿보아 큰 이득을 보려는 투기가 재테크의 한 방법으로 인식되기도 했다. 투기의 대상은 부동산이나 유가증권 등이 주를 이뤘다. 지난 1987년에 있었던 부동산 가격의 급등현상은 바로 부동산 투기로 이어졌다. 당시 대기업들은 엄청난 액수를 땅에 쏟아 부어가며 재산 증식을 했다. 상품을 파는 것보다도 땅 투기가 주요 재테크가 됐던 시절이었다. 또한 사회지도층의 안방마님들인 '복부인'들이 치맛바람을 일으키며 전국을 온통 부동산 투기장으로 만드는 데 거들었다. 그 때 하늘 모르고 치솟았던 부동산 가격의 거품을 빼는데 오랜 시간과 커다란 대가를 치렀던 쓴 경험이 있었다.

지난해부터 재테크의 주 대상이 증시가 되고 있다. 부동산경기가 침체되고 금리가 내려갔기 때문에 증시로 자금이 몰리는 건 당연한 추세로 보인다. 한동안 증권거래소시장에서 종합주가지수가 1000포인트를 오르내릴 정도로 과열 조짐을 보였다. 그러다 증시의 활황세는 벤처기업의 주무대인 코스닥시장으로 넘어갔고 상대적으로 거래소시장이 침체를 보였다. 정부는 거래소시장과 코스닥시장 사이에 극심한 장세 양극화 현상을 보이자 이를 시정키 위해 증시균형발전 방안을 내놓기에 이르렀다.

최근 정부가 조사한 고위공직자 재산변동 내용을 보면 공개대상자 609명 가운데 444명이 재산이 늘어났다. 이 가운데 10%는 1억원 이상 증가했다. 그 원인은 대부분 주식 투자를 통해 이득을 본 것으로 나타났다. 역시 예나 지금이나 달라지지 않은 것은 고위공직자들의 놀라운 재테크 솜씨이다. 그 솜씨를 나라 일에 발휘하는 고위공직자는 몇이나 될지 궁금한 부분이다.<하주홍·코리아뉴스 국장><<끝>>
저작권자 © 제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