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역폐기물소각시설의 본격 가동을 앞두고 쓰레기 분리배출에 대한 홍보·지도가 강화되고 있으나 정작 시·군별로 제각각 추진, 효율성에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

22일 제주도와 4개 시·군에 따르면 내년 3월과 12월 완공예정인 산북·산남 광역폐기물소각시설의 본격 가동을 앞둬 쓰레기 분리배출에 대한 홍보·지도가 강화되고 있다.

도인 경우 소각시설을 민간업체에 위탁, 처리업무에 치중하고 분리배출에 따른 홍보와 쓰레기 수거·분리·운반 업무는 시·군이 도맡아 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 때문에 도-시·군간 업무처리에 일관성을 잃으면서 도가 추진하는 ‘폐기물 처리의 광역화’가 한낱 구호에 그치고 있다.

또한 4개 시·군이 주민들을 상대로 벌이고 있는 재활용 분리배출에 따른 홍보·지도가 제각각 이뤄지고 있지만 도의 조정은 이에 미치지 못하고 있다.

실제 제주시인 경우 재활용품을 깨지는 종류와 안 깨지는 종류 2가지로만 분류해서 배출토록 하는 등 시민편의를 최대한 배려하고 있다.

하지만 서귀포시는 병·고철(캔)·플라스틱 3종류로 분리배출을 유도하고 있고, 북제주군은 종이·고철(캔)·병·플라스틱 4종류, 남제주군은 병·고철(캔·플라스틱)·종이 3종류로 분류토록 지도하고 있다.

음식물쓰레기 역시 제주시와 서귀포시는 발생량 대부분을 자원화시설을 거쳐 재활용하고 있는 반면 남군은 전량 매립에 의존하고 있는 실정이다.

제주시 관계자는 “폐기물관리법상 쓰레기처리는 시장·군수 책임이지만 광역소각시설의 가동으로 이원화되면서 혼선이 빚어지고 있는 것 같다”며 “도가 4개 시·군을 상대로 적극적인 조정작업을 벌여야 할 것이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제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