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NG·수소 혼소발전 기술 완성 관건
발전소 의무가동 증가 우려
2028년 혼소 실증완료 목표
도내 신규 발전소 50% 적용

정부의 구상대로 제주지역에 300㎿ 이상의 LNG 화력발전소가 추가 건립될 경우 발전소의 의무가동(머스트런) 증가로 인해 재생에너지 출력제어가 심화될 것 아니냐는 우려가 나온다. 정부와 제주도는 LNG뿐만 아니라 수소도 연료로 사용하는 혼소 발전으로 이를 돌파한다는 계획이지만 수소터빈의 기술적 완성도가 관건이 될 전망이다.

△의무가동 증가 출력제어 심화 우려
한국전력공사 제주본부에 따르면 제주지역의 재생에너지 발전설비 비중은 2016년 28%(385.8㎿)에서 올해 5월 39.0%(850.4㎿)로 급증한 상태다.

올해 재생에너지 발전설비 가운데 풍력이 293.3㎿, 태양광이 548.6㎿, 기타 8.5㎿를 차지하고 있다.

문제는 전력 최소부하 시기인 봄·가을철 오전 10시~오후 2시를 중심으로 재생에너지의 발전량을 계통에서 수용하지 못해 출력제어가 빈번하게 이뤄지고 있다는 점이다.

도내 출력제어는 2019년 46회에서 2020년 77회, 지난해 64회, 올해는 6월까지 82건을 기록하고 있다. 출력제어 횟수가 갈수록 증가하는 반면 보상은 전무한 가운데 최대부하를 맞추기 위해 LNG 발전소 추가가 불가피하다는 정부 입장에 대해 재생에너지 업계에서는 우려가 앞서고 있다.

설비용량 850㎿를 넘어서는 재생에너지로 100% 감당할 수 있는 최소부하 시간대에도 가동을 멈출 수 없는 화력발전소 특성상 발전기 의무가동량으로 인해 출력제어가 벌어지고 있기 때문이다. 올해의 경우 최대부하는 1074㎿, 최소부하는 396㎿였다.

이에 따라 발전소가 늘어날수록 의무가동량이 증가해 재생에너지 업계에 피해로 돌아갈 것 아니냐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그린수소 생산·혼소 연계 추진
정부와 제주도는 이같은 우려에 대한 해답으로 풍력·태양광 발전을 활용한 그린수소 생산과 수소 혼소 발전을 계획하고 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지난 9일 제5차 수소경제위원회를 개최하고 '3대 수소경제 성장전략'을 발표했다. 해당 계획에서는 제주에서 추진되고 있는 수전해, 수소충전소를 비롯해 액화수소 운송선, 수소 트레일러, 수소 연료전지, 수소터빈 등 7대 전략분야를 집중 지원한다는 계획을 밝혔다.

특히 수소터빈을 통한 혼소발전을 실현해 2026년까지 청정수소 발전 비율을 7.1%로 높이겠다는 계획이 포함됐다. 혼소 발전은 LNG 등 기존 연료에 수소를 50% 이상 비율로 발전하는 것으로, 정부는 2027년까지 수소터빈 등 기술 개발과 실증을 완료하고 2028년부터 단계적으로 확산한다.

이에 따라 2028년 이후 도내에서 생산된 수소를 활용해 LNG 50%, 수소 50%로 혼소발전이 가능한 환경이 만들어지고, 정부와 제주도도 이를 계획하고 있지만 관련 기술 개발과 실증이 기간내 이뤄질 수 있을지가 관건으로 꼽힌다.

제주도 관계자는 "LNG는 선박을 통해 들여오지만 제주도는 충분한 양의 그린수소 생산이 가능하기 때문에 이를 적극 활용하는 모델을 정부에 건의한 결과 도내 신규 발전소에도 혼소 발전이 적용될 것"이라며 "수소 50%를 시작으로 향후 100% 수소발전이 목표로, 시기는 수소터빈 기술 확보에 달려 있다"고 말했다. 김봉철 기자

저작권자 © 제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