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용량 ESS로 재생에너지 극대화…시장성 보장 핵심
2024년부터 160㎿h 구축 추진
전력기본계획 세부 반영 필요
풍력·태양광 출력제어 최소화
전용 전력시장, 수익보장 보완

정부가 제주지역에 300㎿ 규모의 LNG 발전소 건립을 추진하는 과정에서 재생에너지를 포용하기 위해서는 수소 혼소 발전소 뿐만 아니라 대규모 에너지 저장장치(ESS) 구축을 통한 출력제어 최소화가 필수적이다. 제주도 역시 발전소 용량에 준하는 대규모 ESS 구축을 추진하고 있어 관심을 끌고 있다.

△ESS, 발전소처럼 활용
22일 제주도에 따르면 도는 LNG 발전소 건립 이전인 2024년부터 2026년까지 매년 50~60㎿h씩 3년간 160㎿h 규모의 ESS를 갖춰나갈 계획이다. 

현재 금악 등에 주파수 안정용으로 추진된 ESS와 달리 풍력·태양광 등 재생에너지의 간헐성과 변동성을 극복하기 위해 전력을 저장하는 장치로써 도입되는 것이다.

도는 ESS를 통해 출력제어가 심한 오전 11시부터 오후 5시 사이에 4~6시간 가량 충전한 이후 태양광 발전량이 떨어지는 오후 5~7시부터 급전해 재생에너지의 활용성을 극대화할 계획이다.

특히 160㎿h는 시간당 160㎿를 공급할 수 있다는 뜻으로, 실제 시설규모는 6시간 충전을 가정할 경우 960㎿에 달하는 용량이다.

ESS를 구축해 도내 곳곳에서 생산되는 재생에너지를 충전할 경우 낮시간대 남아도는 전기를 밤에 활용 가능한 것은 물론 출력제어를 최소화하고 도내에 또하나의 발전소를 건립한 것과 비슷한 효과를 거둘 수 있게 된다.

도 관계자는 "지난 1년간 전력당국과 전력수급 계획을 논의해온 과정에서 제주지역에 풍부한 풍력과 태양광 발전을 안정화시키기 위한 방안으로 ESS 대규모 도입을 강조해 국가적으로도 필요성을 느껴 국가계획에 반영됐다"며 "2024년부터 기능을 시작할 예정인 ESS를 통해 피크시간대 발전기를 풀로 가동하는 상황이 완화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말했다.

△국가적 보조, 제도 뒷받침 필요
다만 우리나라에서 ESS를 이같은 목적으로 운영된 사례가 없고, 관련 전력시장 구축도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발전사업자가 고가의 ESS를 대규모로 사들여 운영해야 하는 가운데 24시간 가동하는 화력발전소에 비해 4~6시간만 공급할 수 있는 ESS 사업은 수익성이 떨어지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도는 제주지역에 국내 최초로 ESS 전용 전력시장을 개설하고 운영시 사업자의 손해를 보전해주는 방안들을 모색하고 있다.

또 이달말께 수립될 예정인 제10차 전력수급기본계획을 비롯해 2년 단위로 재수립될 때마다 구체화된 ESS 및 수소 혼소 발전소 계획을 반영할 필요가 있다.

특히 고가의 ESS를 대량으로 갖추고 운영하는 과정에서 수익성을 제고하기 위한 국가적인 보조가 제도적으로 필요한 상황이다. 여기에 분산에너지 특구 도입을 통해 ESS 사업자의 전력 판매처를 인근 지역으로 다양화할 수 있도록 제주도의 노력도 뒷받침돼야 한다.

도 관계자는 "2024년 초에 나오는 전력수급기본계획에 구체화된 ESS 계획이 반영될 수 있도록 노력하고 있다"며 "전용시장을 개설해 시장성을 담보해주고, 분산에너지 특구와 맞물려 시장이 활성화 될 수 있도록 제도적, 정책적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고 말했다. 김봉철 기자

저작권자 © 제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