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도의회 2023년도 제주도 예산안 심사]

생애주기별 분류 빈틈 지적
청년별 욕구 세분화 등 주문
신산업 인력육성 강화 제안

제주형 청년보장제 추진체계에 청년들의 니즈(Needs)를 보다 더 구체적으로 담아내야 한다는 주문이 나왔다.

제주도의회는 24일 도의회 제411회 제2차 정례회를 열고 각 상임위원회별 2023년도 제주특별자치도 예산안 등을 심사했다.

이날 더불어민주당 한동수 의원(이도2동을)은 행정자치위원회(위원장 강철남) 제1차 회의에서 "제주형 청년보장제와 관련해 청년들의 욕구를 좀 더 구체화해 담아낼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앞서 민선8기 제주도정은 출범과 함께 7대 목표 101개 주요 과제 가운데 하나로 제주형 청년보장제 도입을 공약했다.

제주형 청년보장제 추진을 위한 기본계획을 수립하고 청년 생애주기를 진입기·구직기·직장기 등으로 세분화해 욕구별 지원을 강화해 나가겠다는 계획이다.

한동수 의원은 "도가 생애주기별로 사업군을 분류한데도 불구하고 실제 지원정책은 세분화하지 못한 듯하다"며 "예를 들어 청년 중 대학생은 임시거주지가 필요하고 직장인들은 내 집 마련이 중요한데 청년보장제 추진체계안에는 내 집 마련에 대한 주거정책만 있다"고 꼬집었다.

이어 “문화 분야도 마찬가지로 문화를 향유하려는 형태의 청년이 있고 문화예술인이 되려는 청년이 있을 텐데 추진체계안에는 문화예술인 육성을 위한 정책만 제시하고 있다”며 “생애주기별로 청년 의지를 반영하겠다는 제주도 계획과 다르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청년보장제 T/F팀에 정책적인 결정권을 가진 사람들이 참여해 청년들의 목소리가 구체적으로 반영된 정책이 반영돼야 한다"고 주문했다.

같은날 농수축경제위원회(위원장 강연호) 제2차 회의에서는 양질의 일자리를 확대하기 위해 신산업 분야 청년인력 육성 사업을 강화해야 한다는 제안이 나왔다.

더불어민주당 강경흠 의원(아라동을)은 "도내 우주산업 관련 기업들이 유입되면서 장기적으로 신규 일자리가 300개 이상 확대될 전망"이라며 "도정에서 위성산업 등 신산업 분야 인력수요에 부응하기 위해 교육과정 운영을 계획하고 있는 것으로 안다"고 운을 띄웠다.

이어 "도내 위성 관련 산업기반이 없는 만큼 교육과정 운영은 필수"라며 "고급기술을 보유한 인력 육성을 위해서는 단기간 교육에 그칠 것이 아니라 도내 대학 등과 연계해 정규과정을 편성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김수환 기자

저작권자 © 제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