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봉철 정치경제부장

제주특별자치도가 지난해 9월 29일 그린수소 글로벌 허브 구축을 기반으로 수소경제로 전환하는 '에너지 대전환 로드맵'을 발표한 이후 도민들의 수소에 대한 관심이 늘고 있다. 

제주도가 10년 전 '탄소 없는 섬 제주 2030(CFI 2030)'를 선언한 후 국내에서 가장 높은 전기자동차 보급 및 신재생에너지 발전 비율을 갖추게 된 것처럼 10년 후 전국에서 가장 많은 수소차를 볼 수 있고, 화석연료 대신 수소로 발전소를 돌리게 될까 하는 궁금증이다.

우선 제주에서 '수소'가 갖는 의미는 타 지역과 차별성을 갖는다. 대규모 산업시설이 없는 지역 특성상 제주에서 생산되는 수소는 재생에너지를 활용한 '그린수소'로, 국가나 국제사회가 목표로하는 탄소중립 목표에 최적의 생산방식이다. 다른 지역에서 추진되는 수소 계획의 경우 천연가스를 활용한 개질수소와 석유화학 공정의 부생수소인 '그레이수소'나, 갈탄·석탄을 태워 생산하는 개질수소인 '브라운 수소', 그레이수소를 만드는 과정에서 탄소 배출을 줄인 '블루 수소'가 많은 부분을 차지한다.

정부는 지난 2021년 11월 수립한 제1차 수소경제 이행 기본계획에서 2050년까지 그린수소 및 블루수소 비중 100%, 자급률 60% 목표를 달성한다는 계획을 밝혔다. 제주의 경우 신재생에너지 발전비율이 18.8%(2021년)로 전국 1위이고, 전국 최초로 ㎿급 그린수소 생산·저장 실증을 추진중이다.

게다가 신재생에너지가 갖고 있는 간헐성으로 인한 출력제어 문제도 전력을 수소로 저장(P2G)함으로써 해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장점이 많은 만큼 전국적으로 경쟁이 치열한 것도 사실이다. 수소 관련 규제자유특구만 해도 대부분의 지자체가 뛰어들었다.

강원은 전주기 액화수소산업(생산·저장·이송·활용) 생태계 기반 구축 및 액화수소 충전으로, 충북은 바이오가스 직공급을 통한 수소 생산 및 사업화 실증으로 규제자유특구 지정 후 각각 사업을 추진중이다. 또 울산은 수소그린 모빌리티 및 밸류체인 구축으로, 충남은 수소에너지 서비스로 각각 규제자유특구로 지정됐다.

국토교통부도 울산, 전주·완주, 안산 3개 도시를 수소도시 조성 시범도시로 선정한데 이어 올해 6개 지자체를 추가 선정하는 등 적극적이다. 올해 선정된 지자체에는 각각 4년간 400억원을 국비 50%, 지방비 50%로 투입해 수소모빌리티 특구 연계, 수소충전소 구축, 수소트레일러 도입 등 수소를 생활권으로 깊숙히 들여오는 사업들을 펼치게 된다.

다만 이번에 선정된 지자체는 제철소를 비롯해 대규모 수소 생산에 유리하고 어느정도 생산시설이 갖춰진 지역들로, 제주는 세부적인 사업계획을 마련하기 위한 정확한 데이터가 없다는 이유로 신청을 다음해로 늦춘 실정이다.

제주도가 지난해 에너지 대전환 로드맵에서 2025년까지 15㎿급 수소 생산단지 및 충전소 5곳을 갖추고 2030년까지 거점별 생산지와 충전소를 확대해나간다는 계획을 밝혔지만 국비 확보가 절실한 사업들인 만큼 지역 경쟁도 무시할 수 없다. 제주에서는 시내버스와 청소차, 관용차 등으로 우선 수소차 전환을 시작할 계획인 반면 타 지자체는 벌써 수소 차량 민간 보급과 수소충전소 구축을 정부와 함께 추진하는 중이다. 전기차 시대에서 가장 앞서나갔던 제주가 수소모빌리티 시대에도 전국을 선도하는 지역이 될 수 있도록 더 속도를 낼 필요가 있다.

저작권자 © 제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