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율과 창의에 바탕을 둔 제7차 교육과정에 대해 신분 불안정을 우려하는 교단의 목소리가 크다.

 올해 초등학교 1·2학년을 시작으로 중학교는 2001년,고등학교는 2002년부터 단계적으로 시행되고 있는 7차 교육과정은 ‘아이들을 자신의 능력에 맞는 수업내용으로 가르치자’는 것이다.

 너무 당연하고 타당한 이야기다.

 그러나 이같은 내용의 학생 선택권은 교사교육과정이 전제돼야 비로소 가능하다.

 중등의 경우를 보자.우선 전공과 담당교과가 다른 상치교사와 과원교사 해소책을 꼽을수 있다.

 현재 정원을 유지하고 있는 과목은 5개 과목에 불과하고 나머지 10개 과목은 교사가 남아돌고 있는 실정이다.

 게다가 7차 교육과정이 본격 시행되면 고등학교 2∼3학년 과정의 경우에도 기존 대부분의 과목이 선택과목으로 바뀐다.

 선택과목이 폭도 넓혀 90개 과목에 이르게 될 것이라고 한다.

 지금까지 2∼4개 과목를 맡았던 교사가 수준별 교육과정과 학습자 중심의 교육과정으로 인해 한꺼번에 6∼8개 과목을 맡아야 한다는 것을 생각하면 신분 불안정과 함께 업무폭증을 우려할 수밖에 없다.

 현재 1600여명의 중등교원 가운데 부전공 자격 연수를 마친 교사는 25%선인 400여명에 그치고 있다.

 아쉽지만 지금부터라도 부전공 자격연수를 확대하는 등의 교사 신분 보장을 위한 노력과 기존 사범대학에서 일부 시행하고 있는 복수전공제가 활성화될수 있도록 정책적 뒷받침이 이뤄져야 한다.

 학교 서무인력을 늘리고 연구풍토 개선을 위해 교과별 부서화도 눈여겨볼만 하다.

 급변하는 시대에 필요한 다양한 내용을 학생들에게 공급하기 위해 교사 교육과정은 꼭 필요하다.

 교사 교육과정을 외면한 채 신분 불안을 느끼는 교사들에 대해 ‘또 교사들이 개혁에 저항한다’는 식의 비판은 곤란하다.<좌승훈 기자>
저작권자 © 제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