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13 총선이 기껏해야 한달밖에 남지 않았다. 전통적으로 무소속 강세지역으로 알려진 제주는 이번에도 전국 초미의 관심지이다. 더구나 현역의원 3명 전원이 한나라당 소속이어서 더욱 그렇다.

몇일전 한 여론조사기관이 제주를 제외시킨 채 전국민의 정치성향을 조사했다해서 화제가 된 적이 있었다. 그 이유가 바로 제주의 예측 불가능한 정치적 특수성, 즉 전통적인 무소속 강제지역이라고 해서 또다시 주목을 받았다.

제주는 정말 소문대로 무소속 강세지역일까. 지금까지도 그러했지만 도민들 대부분이 정당이나 인물보다 무조건적으로 무소속을 선호한다는 게 사실일까.

이와 관련해서 지난 97년 대통령선거를 앞두고 제주도내 언론5사와 제주발전연구원이 공동으로 제주도민의 정치성향을 조사한 바 있다. 조사내용은 투표결정에 있어서 정당이 미치는 정도, 금품·향응이 후보자 선택에 미치는 영향 등이었다. 또 하나 재미있는 것은 이같은 여론조사결과를 얼마나 신뢰하느냐는 것이었다. 물론 그 결과가 이에 대한 정확한 대답은 아니었지만 도민들의 의식구조를 엿보게 했다.

정당 선호도는 비교적 낮았다. 후보자 결정은 인물 됨됨이가 절대적(71.7%)이었고 다음이 공약(13.7%)과 소속정당(9.8%)이었다. 금품과 향응에 대한 영향도에선 45.2%가 미친다고 봤고, 39%는 상관없다고 대답했다. 또 여론조사에 대한 신뢰도에선 49.3%만이 조금 신뢰할 뿐 나머지는 신뢰하지 않는다는 대답이었다.

결론적으로 제주도민의 정치성향은 무소속도 아니고 정당도 아니라는 것이다. 인물 됨됨이를 보고 찍다보니 무소속이 선택됐을 뿐이다. 그러나 이것도 사실과 다르다. 무소속이 절대적인 강세지역이라면 현역의원의 재당선율은 낮아야 한다는 분석인데 그것도 그렇지 않다. 지금의 현역의원들은 모두 3~5선의 중진이라는 점에서 보면 무소속이나 정당보다는 철저한 인물본위이라는 말이 맞다.

제주도는 한마디로 혈연과 지연으로 엮어진 소위 ‘괸당’정치의 성향이 매우 강하다. 이와 같은 사례는 타시도에서는 찾아 보기 힘들 뿐만 아니라 이해하기 어려운 특수한 형태이다. 그러나 이제는 건전한 선거문화 정착을 위해 연줄에 의한 ‘괸당’정치의 폐습은 사라져야 한다.<김종배·논설위원>
저작권자 © 제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