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부 중앙언론이 제주4·3을 좌경세력의 폭동이라는 등 명예회복 활동자체를 매도 일변도로 보도함으로써 진상을 왜곡하고 있다는 주장이 나왔다. 그 동안 일부 중앙언론이 보여준 보도 관행과 내용을 살펴보면 이 지적은 상당히 설득력이 있다. 실제로 몇몇 언론 등을 제외하고 대부분의 중앙언론은 제주4·3에 관해 무관심해온 게 사실이다. 이는 제주4·3 보도에 인색했고, 편향된 시각에서 축소 지향적이었던 데서 증명이 된다. 특히 일부 특정언론은 4·3을 이데올로기적 사건으로만 몰고 가려는 위험스런 발상도 서슴지 않고 있다. 역사의 진실에 제대로 접근하려 하기보다는 오히려 왜곡하려는 건 언론이 가야할 정도가 아니다.

지난 28일 서울 프레스센터에 열린 ‘제주4·3사건과 한국언론’세미나에서 김삼웅 교수가 중앙언론의 보도행태에 대한 날카로운 지적에 공감한다. 특히 김 교수가 열거한 중앙언론이 4·3보도에 인색하고 왜곡을 일삼는 여러 가지 이유는 타당성이 있기 때문이다. 우선 군사독재정권 아래서 형성된 ‘폭동·반란론’이란 편향된 이념적 경향성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는 것이다. 이에 길들여진 일부 언론인들이 아직도 4·3을 단순히 이데올로기적 사건으로 인식하고 있기 때문이다. 또 오래 전부터 다른 지역인들이 섬이나 섬사람에 대한 멸시와 학대를 일삼아왔던 습성 때문에 4·3에 대해 의도적인 차별과 축소지향의 보도관행을 만들었다는 것이다. 특히 언론인들의 역사의식 빈곤과 미국에 대한 사대의식, 외신 추종습관에 대한 지적은 언론인 모두가 귀담아들어야 할 대목이다.

언론은 역사적인 사건에 대해 마땅히 추적하고 진상규명에 나서야하는 게 당연하다. 과연 중앙언론은 4·3에 대해 이 같은 활동에 충실해왔는지 겸허하게 반성해야 할 것이다. 언론을 통한 역사적 진실왜곡은 또 다른 형태의 범죄이다. 앞으로 중앙언론은 제주4·3에 대해 편향된 선입견과 잘못된 관행에서 벗어나 진상규명 보도에 최선을 다해야 할 것이다.
저작권자 © 제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