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북문제 전문가들은 남북한이 통일을 이루는 형태로 세 가지 경우를 설정하고 있다. 즉 평화 통일, 급변 통일, 전쟁에 의한 통일이라는 것이다. 이 가운데 최악의 시나리오는 전쟁을 통해서이다. 이 경우는 양쪽이 모두 공멸할 것이라는 위험성이 크기 때문에 실현 가능성은 높지 않다고 본다. 두 번째는 어느 한쪽이 체제가 붕괴될 경우 다른 한쪽에서 흡수하는 급변 적인 통일의 형태다. 구 소련이나 동독 등 동구에서 체제 붕괴의 예는 있지만 한반도의 경우는 사정이 다르다는 의견이 만만찮다. 마지막으로 가장 이상적인 게 남북의 평화적인 통일형태이다. 이는 서로의 체제를 존중하는 바탕 위에서 평화를 정착시키고 공존공영 함으로써만 가능하다.

국민의 정부는 '햇볕정책'인 대북 포용정책을 일관되게 추진해오고 있다. 이를 위해 북한의 개혁,개방,대남도발 포기 등 변화를 유도하기 위해 각종 지원과 협력을 계속해왔다. 김 대통령은 올해 신년사,'베를린 선언'등을 통해 남북간 교류 협력관계를 확대하면서 북쪽을 흡수 통일할 의사가 없다는 걸 확인해줬다. 이에 대해 북한은 포용정책이 자신들의 내부로부터 체제를 와해시키려한다고 비난하면서도 경제적인 실리는 챙기는 이중적인 태도를 보여왔다. 그들은 이른바 '통미(通美) 봉남(封南) 접현(接現)정책'(미국과는 통하면서 남한 정부는 배제하고 현대그룹과의 접촉을 통해 실리를 챙기는 정책)을 써오며 최근까지도 남북한 당국간 대화를 완강히 거부해왔다.

분단 반세기만에 남북 정상회담을 처음으로 평양에서 갖게 됐다는 반가운 소식이 서울과 평양에서 동시에 발표됐다. 오는 6월12∼14일 김대중 대통령이 북한을 방문, 김정일 북한 국방위원장과 역사적인 첫 만남이 이뤄진다는 것이다. 반목,불신,대결로 치달았던 남북관계가 화해,신뢰,협력의 획기적인 변화를 기대할 수 있게 한다. 합의사항 발표의 시점이나 합의 내용에 있어서 여러 문제점을 내포하곤 있다. 하지만 두 정상인 처음 만난다는 자체가 갖는 여러 상징성은 엄청나다. 회담에 앞서 넘어야 할 과제도 많다. 성급한 기대나 낙관론은 금물이다. "대결의 냉전질서를 종식시키고 화해와 협력의 새로운 역사를 열어 가는 출발점이 됨으로써 분단사에 획을 그을 것"이라는 기대가 현실화하길 바란다.<하주홍·코리아뉴스 국장>
저작권자 © 제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