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일 열린 4·3위령사업범도민추진위(위원장 조명철)의 첫 상임위원회는 내내 어수선한 분위기 속에서 진행됐다.

 우선 4·3범추위가 4·3특별법 시행 전인 오는 4월 12일까지만 존속하는 한시적 기구이기 때문이다. 그런데 이는 조례 개정을 통해 존속시킬 수도 있으므로 도의회의 뜻에 맡길 일이다.

 문제는 4·3범추위의 위상에 관한 논란이었다.최근 도는 일방적으로 ‘위령공원 현상공모’를 발표한다든가,범추위 위원장단이 인선한 사무국장을 거부함으로써 물의를 빚어 왔다.

 이에 대한 논란은 회의 내내 계속됐다.그러나 도는 해명하지 않았고 위원장은 언론의 지적을 ‘약간의 문제일 뿐’라며 도의 입장을 두둔하는데 급급했다.

 그러다 보니 매번 이중 잣대가 적용됐다.사무국장 인선이 무산된 것과 관련해서는 ‘4·3범추위가 한시적 기구이므로 굳이 민간인 사무국장이 필요하지 않았다’고 해명한 반면,각종 분과위를 구성하자는 의견에 대해서는 ‘4·3범추위가 지속됨을 전제로 한다’는 논리가 등장했다.

 도 역시 당초 방침을 강행할 의지를 보였다. 당초 ‘기술적 전문가에게만 맡기면 곤란하다’는 지적에 대해서는 언급조차 없었다.이와관련 일전에 광주시 전문위원이 “광주5·18공원 조성을 건축사나 예술가에게만 맡기는 바람에 역사성이 결여된 박제화된 공원으로 전락했다”는 자성은 새겨들어야 할 대목이다.

 도는 마스터플랜이 없다는 지적에 대해서도 ‘현상공모가 끝나야 개략적 사업계획을 세울 수 있다’는 말만 되풀이했다.그렇다면 가령 500억원의 예산을 염두에 둔 계획안이 당선됐는데,정부의 지원 가능한 예산이 50억원 뿐이라면 어찌할 것인가  이날 상임위원들은 이구동성으로 ‘화합’을 강조했다.당연한 말이다.그러나 당초 언론의 지적은 문제를 침소봉대해 불협화음을 조장하자는 게 아니라,4·3위령사업이 중요한만큼 첫단추를 제대로 끼워야 한다는 것이었다.

 따라서 논란을 두려워해서는 안되며 오히려 위령사업을 민주적이며 바람직한 방향으로 이끌기 위한 교훈으로 삼아야 할 것이다. <김종민기자><<끝>>

저작권자 © 제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