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일 오후 정부세종청사 국토교통부 공용브리핑룸에서 열린 '동남권 신공항 사전타당성 검토 연구 최종보고회'에서 입지선정 용역을 벌여 온 프랑스 파리공항공단엔지니어링(ADPi) 장 마리 슈발리에 수석 엔지니어가 연구결과를 발표하고 있다.

ADPi "가중치별 시나리오에서 확장안 최고 점수 받아"
국토부 "기존 김해공항 단순 보강 아닌 시설 대폭 신설·교통망 개선"

영남권 신공항 건설이 또다시 무산됐다. 대신 기존의 김해공항을 대폭 확장하는 방안이 제시됐다.

영남권 신공항에 대한 사전타당성 연구용역을 벌여온 프랑스 파리공항공단엔지니어링(ADPi)과 국토교통부는 21일 정부세종청사에서 '영남권 신공항 사전타당성 검토 연구 최종보고회'를 열어 현재의 김해공항을 확장하는 방안이 최적의 대안이라는 결론을 내렸다고 밝혔다.

장 마리 슈발리에 ADPi 수석 엔지니어는 "기존에 나와 있던 옵션 2개를 비교하는 것이 아니라 완전히 '제로'에서 새로 시작하는 단계를 밟았다"며 "여러 단계 검증을 거쳐 ▲ 부산 가덕도 ▲ 경남 밀양 ▲ 김해공항 확장 등 3개 후보지로 최종 압축해 김해공항 확장이라는 결과를 도출했다"고 말했다.

ADPi는 평가 기준 목록으로 ▲ 운영상 고려사항 ▲ 전략적인 고려사항 ▲ 사회경제학적인 고려사항 등을 정했다.

운영상 고려사항에는 항공교통관제, 장애물과 관련된 요소, 비항공학적인 요소 등이 포함되며 전략적인 고려사항에는 접근 가능성 등이 담겼다.

사회경제학적 고려사항에는 소음과 관련된 요소, 생태학적인 요소 등 사회적인 측면과 비용, 리스크 등 경제적인 요소를 넣었다.

ADPi는 특히 신공항 후보지가 선정됐을 때 법적·정치적인 후폭풍도 고려했다고 밝혔다.

의사결정 정에 문제가 있을 수 있는지, 기술적인 문제가 있는지, 단계적인 프로젝트 이행이 가능한지, 프로젝트 중 정치적인 변화가 있을 수 있는지 등을 종합적으로 판단했다는 것이다.

ADPi는 각각의 요소에 대한 가중치 적용에 따라 3가지 시나리오를 만들어 분석한 결과, 모든 시나리오에서 김해공항 확장이 가장 높은 점수를 받았다고 설명했다.

국토부와 부산시 등은 2002년부터 2009년까지 총 6차례에 걸친 용역을 진행해 김해공항을 확장하는 방법을 검토했다. 확장방법은 모두 7가지였다. 사진은 기존 활주로 연장, 보조활주로 신설, 기존 활주로 방향 변경 등 김해공항 확장안을 보여주고 있다.

시나리오A는 접근 가능성 등 전략적인 요소에 가중치를 뒀고, 시나리오B는 소음·환경보호 등 생태적인 요소에 가중치를 뒀다. 시나리오C는 프로젝트 완료와 실현 가능성에 큰 가중치를 적용했다.

또 간사이공항 등 기존 공항건설 과정을 참조한 '레퍼런스 시나리오'에서도 김해공항 확장이 최고 점수를 받았다고 ADPi는 전했다.

ADPi는 신공항의 연간 승객 수요를 국제선 2천800만명, 국내선 1천200만명 등 총 4천만명으로 예상했다. 화물 수요는 연간 36만t으로 내다봤다.

슈발리에는 "신공항이 장기적으로 수송 능력을 감당할 수 있는 국제공항이 돼야 하고 지역 내 공항의 역량을 더욱 확장하거나 보완할 수 있어야 한다고 판단했다"며 "연간 4천만명의 승객을 수용하려면 지형적 요소를 고려한 근접병행 활주로가 2개 있어야 하고 총면적이 4.4㎞ x 2㎞ 직사각형 모양이 돼야 한다고 봤다"고 말했다.

강호인 국토부 장관은 "이번 용역 결과가 항공안전, 경제성, 접근성, 환경 등 공항 입지 결정에 필요한 제반요소를 종합적으로 고려해 도출된 합리적 결론이라고 평가한다"고 밝혔다.

강 장관은 "결과에는 기존 김해공항을 단순히 보강하는 차원을 넘어 활주로, 터미널 등 공항시설을 대폭 신설하고 공항으로의 접근 교통망도 함께 개선하는 방안이 담겼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이를 통해 장래 영남권 항공수요에 충분히 대응할 수 있음은 물론 영남권 전역에서 김해공항을 보다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어 김해공항이 영남권 거점공항의 역할을 수행하는 데 부족함이 없는 대안이라고 판단한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저작권자 © 제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