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3 68주년 학술대회서 추념일 지정 후 ‘암묵적 봉합’반성
지방공휴일 선포 등 전승 작업 구체화.도민 공감대 유도 주문

제주에서 ‘4.3’은 진행형이다. ㈔제주4.3연구소(이사장 김상철) 주최로 열린 제주4.3 제68주년 기념 학술대회가 내린 결론이다.

학술대회에서 참가자들은 ‘추념일’지정 이후 오히려 더 양극화된 진실 규명에 대한 온도차와 제자리걸음에 그치고 있는 전승 작업 등을 반성했다.

특히‘제주4.3 70주년을 어떻게 할 것인가’라는 질문에 아직까지‘다음’을 고민해야 하는 상황에서 벗어나 구체화된 목표를 세워야 한다는 데 의견을 같이 했다. 이를 주도할 ‘협의체’구성도 제안됐다.

양윤경 제주4.3희생자유족회장은 “특별법이 만들어지고 국가추념일까지 지정됐지만 도민들마저 아직 제주4.3을 모른다는 것이 현실”이라며 “국가공식 사과가 있었다고 하지만 4.3해결은 아직 멀었다. 적어도 70주년에는 4.3과 관련한 국가적 폭력에 대한 배.보상 문제를 가시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박경훈 제주문화예술재단 이사장은 ‘지방 공휴일 지정’을 제안했다. 박 이사장은 “특별법 제정과 국가추념일 지정으로 제주4.3이 양지로 올라왔다면 이제는 전승하는 것에 당당할 필요가 있다”며 “상징적 의미의 추념일을 앞세워 진실을 미화하는 것이 아니란 도민을 중심으로 제주4.3에 공감할 수 있는 계기를 만들어야 한다”고 말했다.

‘4.3 정명찾기’운동의 부활도 대두됐다.

허영선 제주4.3연구소장은 “역사에 있어 ‘70년’은 순간이다. 제주4.3 진실 규명은 아직 진행형이고 후체험세대 전승 필요성은 더 커졌다”며 “불편한 진실을 묻어둔 채 화해와 상생만 앞세웠던 상황들로 60주년에 제기됐던 4.3정명찾기 운동이 10년 째 제자리 걸음을 하고 있는 대한 반성과 더불어 구체화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4.3희생자 재심의 같은 언급은 70주년에는 반드시 끝내야 한다”는 양동윤 제주4.3도민연대 공동대표의 주장도 호응을 얻었다.

양 공동대표는 “살아있는 역사에 대한 인정을 전제로 도민을 넘어 국민적 합의를 이룰 수 있는 방향을 분명하게 설정할 필요가 있다”며 “잃어버린 마을과 수형생존인 등 기억할 역사에 대한 기록작업도 서둘러야 한다”고 주문했다.

박찬식 육지사는 제주사름 대표는 “제주4.3 해원은 이제 역사적 비극이나 희생자 인정 같은 지켜내려던 것에 치중했던 것에서 넘어설 것을 고민해야 할 때가 됐다”며 “제주4.3이 무엇이었냐에 대한 정명 작업과 억울함을 풀어야 한다는 전제 아래 미뤄졌던 배.보상 문제, 국가폭력과 양민학살, 억울한 죽음에 대한 신원에 있어 한계를 인정하고 잊혔던 것들을 재기하는 기회로 삼아야 한다”고 제시했다.

한편 앞서 진행된‘4.3 이후의 4.3-제주4.3의 전환기적 과제’주제에서는 ‘이적죄의 기원’(이재승 건국대 법학전문대학원), ‘제주 4.3트라우마의 치유, 문화인가 정치인가’(김종곤 건국대 통일인문학연구다), ‘끝나지 않은 애도:4.3사건 피해여성은 말할 수 있는가’(정원옥 중앙대 문화연구학과) 등을 통해 국가적 폭력과 4.3의 진실을 마주하는 자세에 대한 다양한 접근이 이뤄졌다.

저작권자 © 제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