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차산업혁명 '초연결'시대…"지역이 중심이다" <1> 프롤로그

'이미 다가온 미래'…사람·사물·공간 접촉면·연결고리 확대
국제자유도시·특별자치도 실험 사회 관점 변화 실측 필요
위기-기회,  '경제 성장' '사회문제 해결' 동시달성 "제주는"

4차산업혁명의 시대다. 이미 다가온 미래다. 지난 2016년 1월 다보스포럼에서 '4차 산업혁명'이라는 단어가 처음 등장한 이후 세계는 급속도로 바뀌기 시작했다. 사람, 사물, 공간 등 모든 것이 인터넷으로 연결되는 초연결 사회로 진입했고, 그 속도는 점차 빨라지고 있다. 하지만 여전히 4차산업혁명에 대한 다양한 해석과 대응이 존재하고 있고 관련한 준비가 부족하거나 필요성을 인식하지 못하는 있는 것도 현실이다. 중요한 것은 우리가 살아가는 방식 전체, 즉 사회의 관점에서 큰 변화를 가져올 것이란 사실이다. 그 중심에 지역이 있다. 미래 제주의 가능성을 분야별로 살피고 발전동력으로 가동할 방법을 찾아본다.

△정보 부족·수요 불확실성

'4차 산업혁명'은 아직 부담스럽다. 먼 미래 얘기처럼 들리지만 사회 전반은 물론 실생활 속에 상당 부분 진행되고 있다. 사회적 합의가 충분히 이뤄지지 않은 데다 정보 부족과 수요 불확실성이 만든 불균형이 만는 온도차다.

4차 산업혁명은 디지털 혁명(3차 산업혁명)에 기반하여 우리가 살고 있는 물리적 공간, 디지털적 공간 및 생물학적 공간의 경계가 희석되는 기술융합의 혁명이라고 정의한다. 초연결성(Hyper Connected), 초지능화(Hyper Intelligent)로 정리할 수 있다. 이중 초연결성은 4차 산업혁명이 도래하는 미래 사회에서 가장 중요한 특성으로 꼽힌다. 이런 초연결사회 측면에서 볼 때 기존과는 다른 관점에서 세상을 보고 또 접근할 것을 주문한다. '알파고'란 단어를 공공연하게 쓰게 된 순간 우리는 초지능화를 감지한 것과 마찬가지다.

전통적인 지리 공간과 발전은 이제 통하지 않게 됐다. 산업기술만으로는 설명하기 힘들다. '탈집중화'라는 큰 틀 아래 과거 통신 환경은 인터넷으로 교체됐고, 관치 경제 개념을 시장경제가 대체했다. 지역 주도, 지방분권 논의도 시작한 지 오래다. 인터넷에 보안과 신뢰를 강화한 블록체인 시장이 부상했고, 공유경제와 주민자치·거버넌스 등 자기조직화 움직임도 활발해지고 있다. 이런 측면에서 초연결시대는 세포분열처럼 연결할 수 있는 고리가 늘어나는 것으로 설명할 수 있다. 그 핵심은 사람이다.

우리나라는 2017년 관계부처와 대통령 직속 4차산업혁명위원회를 중심으로 혁신성장을 위한 '사람'중심의 4차 산업혁명 대응 계획을 수립했다. 4차 산업혁명이 위기가 아닌 기회가 될 수 있도록 하는 범정부 차원의 협력과 정책적 의지를 담은 청사진이다.

'모두가 참여하고 모두가 누리는' 실체가 있는 사람 중심의 4차 산업혁명 구현'을 비전으로, 기술·산업·사회 정책을 긴밀히 연계하는 것을 내용으로 한다. 그리고 제주는 벌써 그 작업에 들어갔다. '사람·상품·자본의 이동이 자유롭고 기업 활동의 편의가 최대한 보장되는 이상적 자유시장 경제모델'을 추구하는 국제자유도시와 지방분권 모델인 특별자치도다.

△'사람'중심…최적의 합 찾아야

일반적으로 알고 있는 4차산업혁명은 정보통신기술(ICT)을 비롯한 AI, 로봇, 사물인터넷(IoT)등이 다양한 산업들과 결합하며 지금까지는 볼 수 없던 새로운 형태의 제품과 서비스, 비즈니스를 만들어낸 것을 연상한다. 이런 산업혁명 기술과 가능성이 제대로 현실화하는 최적의 환경은 다름 아닌 지역 혁신이다. 4차산업혁명과 관련한 일련의 논의가 '산업'에서 '지역'으로 바뀌고 있다는 점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

중앙정부는 공통 요소의 플랫폼 역할을 하는 것으로 효율을 제공하고, 지방정부는 자율경쟁과 핵심역량 차별화로 완성도를 높이게 하는 구상이다. 전문가들은 이 같은 시스템이 제대로 작동하기 위한 장치로 지방분권과 재정분권, 산업분권을 제안한다. 현재 이중 지방분권과 산업분권이 잰걸음을, 재정분권 작업은 상대적으로 더디게 움직이고 있다. 지역 균형 발전 역시 4차 산업혁명 시대 대응의 한 형태라는 얘기다.

산업 생태계 재편에 있어서도 기존 기반산업과 신산업, 산업환경 전환 등을 동시다발적으로 진행해야 한다는 주문이다. 인력 양성과 확보가 최우선 과제다.

4차산업 혁명은 경제사회 구조적 과제의 동시 해결이 가능한 혁신성장의 새로운 모멘텀이다.

산업지형과 고용구조, 삶의 질 등 경제 사회 전반의 대변혁을 유발하고 성공적 대응 여부에 따라 제주는 물론 국가 경쟁력을 좌우하게 된다.

인공지능, 빅데이터 등 디지털 기술로 촉발되는 초연결 기반의 지능화 혁명으로 산업뿐만 아니라 국가시스템, 사회 삶 전반의 혁신적 변화를 유발한다.

성장 활력 제고와 미래 대비를 위한 '경제 성장'과 '사회문제 해결'을 동시 달성한다는 얘기는 어느 한 방향에서는 보이지 않는다는 것과 같은 의미다. '일자리 감소'라는 위기와 '신직업 창출'이라는 기회가가 공존하고, 사이버 위협 증대와 신기술의 기술적 안전성 이슈 등 잠재적 역기능에 대한 대응도 고민해야 한다. 낭비나 모럴해저드에 대한 고민은 정보 개방과 주민 참여를 통해 견제하고 지역소멸 등 위기요인 해소에도 적극적이어야 한다. 인재를 유치하고 인재가 원하는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한 정주 환경 개선 주문도 낯설지 않다.

결국 제주 역시 이 흐름 속에서 최선의 합을 찾아야 하는 과제에 직면했다. 제주 사회 전체가 공유할 수 있는 가치 있는 미래 비전 설정이 중요해졌다.

저작권자 © 제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