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세먼지 없는 청정 제주로

2021∼2030년 온실가스 영향 제주지역 폭염 위험도 상승
매년 자동차·건축물 증가…환경오염물질 배출기준 위반도
제주특성 반영한 정책발굴 절실…도시바람길숲 조성 주목

전국에서 청정지역으로 손꼽히는 제주가 미세먼지와 각종 대기오염물질 배출로 위협받고 있다. 매년 도로변 가로수 심기와 조림사업 등을 추진하고 있지만 자동차 증가와 도시면적 확대 등으로 대기환경 보전에 한계를 보이고 있다. 이에 따라 제주특별자치도는 지난해부터 500만 그루 나무심기 등 숲속의 제주 만들기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미세먼지는 물론 기후변화와 열섬현상 등에 대응하기 위한 환경정책으로 주목을 받고 있다. 하지만 도민 생활권과 기후, 지리적 특성 등을 반영한 도시숲 조성은 여전히 과제로 남아 있어 신규 정책 발굴이 요구되고 있다.

△기후변화 영향 불가피 

몇 년 전까지만 해도 제주지역은 전국에서 공기가 맑은 청정지역으로 불렸다. 하지만 인구 및 자동차 증가, 도시면적 확대 등으로 대기오염이 점차 심각해지고 있다. 

전국 대도시와 마찬가지로 미세먼지 위협과 폭염일수 증가 등 기후변화에 대비해야 하는 상황을 맞게 됐다. 

제주지역 기후변화는 환경부가 공개한 폭염 위험도를 통해 예측 가능하다. 

환경부는 지난해 8월 전국 자치단체 229곳을 대상으로 기상청의 기후전망 시나리오를 활용해 2021∼2030년 폭염 위험도를 5단계로 평가한 결과를 공개했다. 

폭염은 일반적으로 일 최고기온이 33도 이상일 때를 의미한다. 일 최고기온이 33도 이상 2일 넘게 지속될 것으로 예상될 때는 폭염주의보가 발령된다. 

정부의 온실가스 저감 정책이 상당히 실현되더라도 2021∼2030년 우리나라 폭염 위험도는 2001∼2010년 대비 크게 증가할 것으로 예측됐다. 

폭염 위험도가 '매우 높음' 지역은 19곳에서 48곳으로, '높음' 지역은 50곳에서 78곳으로 증가할 것으로 분석됐다. 반면 '낮음' 지역은 64곳에서 32곳, '매우 낮음' 지역은 16곳에서 6곳으로 감소할 것으로 전망됐다. 

특히 현재 추세로 온실가스가 배출될 경우 '매우 높음'지역은 19곳에서 72곳, '높음' 지역은 50곳에서 73곳으로 급증하며, '낮음' 지역은 64곳에서 19곳, '매우 낮음' 지역은 16곳에서 1곳으로 급감할 것으로 관측됐다. 

제주지역도 2001∼2010년에는 '보통' 지역이지만 2021∼2030년에는 '높음' 또는 '매우 높음'에 포함될 것으로 내다봤다. 

△환경오염 요인 증가

도내 자동차 등록대수 증가와 도시 팽창, 환경오염물질 배출 등도 제주를 위협하는 요인이다. 

제주도가 집계한 도내 자동차 등록대수는 2013년 33만4426대, 2014년 38만4117대, 2015년 43만5015대, 2016년 46만7243대, 2017년 50만197대, 2018년 55만3578대로 매년 증가 추세다. 

자동차에서 뿜어져 나오는 배기가스가 대기환경을 오염시킨다는 점에서 심각한 상황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뿐만 아니라 자동차 증가로 발생하는 교통혼잡을 해결하기 위해 도로를 개설 및 확장을 추진하다보니 가로수와 녹지공간이 줄어드는 현상도 연출되고 있다. 

도내 건축물 역시 2013년 15만2343동에서 2014년 15만4988동, 2015년 15만8942동, 2016년 16만3669동, 2017년 17만333동, 2018년 17만4998동으로 증가하고 있다. 

녹지공간에 주택과 상업시설 등이 들어서는 것으로 대기오염물질 정화기능이 약화되고 있는 실정이다. 

환경오염물질 배출기준 위반행위도 좀처럼 근절되지 못하고 있다. 

제주시 지역만 하더라도 지난해 1월부터 11월까지 환경오염물질 배출사업장과 생활환경민원 등 5117건에 대해 지도·점검을 실시한 결과 관련법을 위반한 사업장 242곳이 적발됐다. 

△제주형 정책 발굴 절실

이처럼 제주 청정 환경을 위협하는 요인이 늘어남에 따라 제주특성을 반영한 환경정책이 요구되고 있다. 

제주도는 지난해부터 2023년까지 총사업비 881억2500만원을 투입해 나무 500만 그루 심기 등 '숲속의 제주 만들기'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미세먼지 저감과 도시 열섬현상 해소를 위해 도시숲과 명상숲, 녹지 등을 조성하고 가로수를 확충한다는 계획이다. 

또 산림의 경제적, 공익적 가치 증진을 위해 경제수 및 재해방지 조림사업을 추진하고 나무 나눠주기, 도민 참여 나무심기운동, 나무은행 운영 등도 병행하고 있다. 

이를 통해 도는 지난해 11월말까지 나무 102만6115그루를 심는 성과를 거뒀다. 지난해 계획한 100만 그루 심기 목표를 초과 달성한 것이다. 

하지만 사업대상지 신규 발굴에 한계가 있고, 제주특성을 반영한 정책 추진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제기됨에 따라 도시바람길숲 조성이 논의되고 있다. 

도민 생활권에 도시바람길숲을 조성해 미세먼지를 차단하는 동시에 휴식공간으로 활용하는 방안으로 주목을 받고 있다. 

도시바람길숲 조성을 실현하기 위한 부지 확보와 타 지역 사례 조사, 세부실행계획 수립 등이 과제로 제시되고 있다. 김경필 기자

도시숲 접근성·활용도 검토해야

제주지역 1인당 생활권 도시림 15.72㎡
세종·강원·전북·전남·울산지역 비해 부족

제주도가 기후변화와 대기오염 등에 대응하기 위해 도시숲 조성사업을 역점 추진하고 있는 가운데 도민들이 쉽게 접근하거나 활용할 수 있는 생활권 도시림 조성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산림청이 지난 2018년 2월 발간한 전국 도시림 현황 통계를 보면 산림, 가로수 등 도로변 녹지, 하천변 녹지, 국·공유지 녹화지, 명상숲, 담장녹화지, 도시공원, 유원지 등을 도시림으로 규정하고 있다.

특히 이중 도시민이 이용함에 있어 별도의 시간 및 비용에 대한 부담이 낮고, 실생활에서 쉽게 접근·활용할 수 있는 도시림을 생활권 도시림으로 분류했다. 

이를 토대로 산출한 제주지역 도시면적 15만1675㏊ 대비 도시림 면적은 57.87%(8만7778㏊)로 나타났다. 

제주지역 도시면적 대비 도시림 비율은 전국 17개 시·도 중 강원(70.20%)과 울산(58.78%), 충북(58.07%) 등 3개 시·도를 제외한 13개 시·도보다 높았다.

제주지역 1인당 도시림 면적은 1413.87㎡로 강원(2359.91㎡)에 이어 두 번째로 넓었다.

하지만 제주지역 1인당 생활권 도시림 면적은 15.72㎡로 세종(24.22㎡), 강원(19.73㎡), 전북(18.56㎡), 전남(17.97㎡), 울산(17.87㎡)보다 좁은 것으로 조사됐다. 

제주지역의 경우 산림이나 도로변 녹지, 도시공원 면적 등이 넓은 편에 속하지만 도민들이 접근하거나 활용하기가 쉽지 않다는 의미다. 

제주도가 기후변화와 대기오염 등에 대응하기 위한 도시숲 조성사업을 추진하는 과정에 도민 접근성과 활용도를 고려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저작권자 © 제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