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창열 연구원 22일 '제주지역 재해 회복탄력성 강화 방안' 발표
구체적 회복탄력성 실천전략 마련…재해 회복 빠른 섬 발돋움 주문

최근 발생하고 있는 재난에 대한 피해규모와 발생패턴이 대형화·복합화 돼 감에 따라 재해 발생 후의 회복탄력성(resilience)을 강화해야 한다는 의견이 제시됐다.

특히 제주지역은 섬이란 특수성으로 인해 재난에 의해 고립될 가능성이 높아 재해예방형 도시화를 기반으로 독립적 방재체계 구축과 함께 스스로 재난 상황을 극복할 수 있는 역량을 강화해야 한다는 주문이다.

제주연구원 박창열 책임연구원은 22일 발표한 '제주지역 재해 회복탄력성 강화 방안' 연구를 통해 "최근 발생하고 있는 재해 유형은 기후변화, 도시화 등의 확대로 인해 예측하기 어렵고, 재난의 발생패턴과 피해규모는 대형화·복합화 되고 있다"며 "섬인 제주지역은 재난 상황이 발생하면 고립될 가능성이 매우 높으며 대규모 재난 상황에서 중앙정부 또는 인접 지자체의 지원을 기대하기도 어렵다"고 설명했다.

박창열 연구원은 "제주지역의 자원(물자, 물류체계)을 충분히 활용할 수 있는 시스템(DB 등)을 구축해야 하며 재해 복구전략을 사전에 마련해 놓음으로써 지역사회의 자생 역량을 강화해나갈 필요가 있다"며 "최근 예기치 않은 재해 발생이 잦은 제주도에 재해 회복탄력성 개념을 도입해 주기적으로 진단함으로써 재해 회복이 빠른 섬으로 발돋움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우리나라의 복구체계는 대부분 구조적 대책 중심으로 이뤄져 있어 지자체의 노력을 통한 지역사회 전반에 걸친 종합적 복구 전략 등을 마련돼 있지 못하고 있다"며 "제주도는 재해 회복탄력성 강화를 위한 부야별 노력을 하고 있지만 안전관리계획이 1년 단위의 단기계획에 그치고 있으며 제주만의 재난 환경과 미래 여건 등을 반영한 탄력적 대책들이 반영되지 못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박 연구원은 "제주지역의 재해 여건을 고려할 때 회복탄력성 개념은 제주지역 재난관리에서 매우 중요하다"며 "앞으로 제주지역의 회복탄력성 강화를 위한 보다 구체적인 실천전략이 마련돼야 한다"고 제안했다. 김지석 기자

 

저작권자 © 제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