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혁신도시는 2007년 9월 전국에서 가장 먼저 조성되며 도민사회로부터 높은 기대를 받았다. 당시 정부가 발표한 지역균형 발전을 비롯해 인구유입, 지역인재 채용, 민간기업 이전에 따른 지역경제 파급효과로 호응을 얻었음은 물론이다. 하지만 제주혁신도시가 조성된지 10년을 넘고 있음에도 지역 기여도에 대한 성적표는 전국에서 가장 저조해 도민들의 실망감도 매우 크다. 

서귀포시 서호·법환동 일원에 조성된 제주혁신도시에는 현재 정부의 9개 공공기관이 입주해 있다. 그런데 국토교통부가 최근 2019년 '혁신도시 시즌2' 성과를 분석한 결과 이들 이전기관의 지역 기여도는 매우 초라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인재 채용이나  민간기업 입주 등의 성적표가 전국 10대 혁신도시 가운데 가장 낮았다. 공무원연금공단·한국국제교류재단 등 9개 이전

기관의 지역인재 의무채용 비율만 해도 21.7%에 불과해 전국 평균 25.9%에도 미치지 못했다.

지역경제 기여도 역시 미흡하기는 마찬가지다. 이전기관의 지역물품 우선구매율이 4.9%(23억원)에 그치고 있는데다 지난해 지방세 납부액도 91억원으로 타지역 평균 459억원에 비해 미미한 수준이다. 심지어 지역경제 활성화와 밀접한 혁신도시내 민간기업 이전 실적 역시 1곳에 불과했다. 반면 다른 지역 혁신도시에는 지난해만 732개 민간기업이 입주하면서 해당 지역주민들이 경제적 파급효과를 누리고 있다. 

제주혁신도시내 기업 용지가 100% 분양됐음에도 기업들이 입주를 꺼리는 것은 경기침체와 유치업종 제한 등 토지이용 규제가 원인으로 분석된다. 특히 규제는 기업 활동을 저해하기에 제주도정의 개선책 마련 등 유치 노력이 필요하다. 제주지역만 혁신도시 조성의 효과를 누리지 못한다는 것은 도민들이 손해를 입고 있다는 말이다. 지역경제 파급효과를 높이기 위한 대책 마련에 서둘러 나서야 한다.

저작권자 © 제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