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주민 의지 기반 ‘어떻게 관리하느냐’ 관건

7. 바다목장사업 1호 통영에서 배운다-바다목장 성과와 과제

2007-07-09     박미라 기자

   
 
  ▲ 야생적응 훈련을 하는 우럭들  
 
국내 제1호 바다목장인 ‘통영바다목장’이 지난달 26일 9년만의 사업을 마무리, 준공식을 가졌다.

그러나 통영바다목장에 대한 시선은 그리 곱지만은 않다. 240억원 이라는 예산을 투입, 어장을 조성하고 어업을 금지하는 각종 규제까지 동시에 이뤄졌지만 그에 따른 효과는 기대를 밑돈다는 지적의 목소리가 제기되고 있기 때문이다.

바다목장이 과연 어장조성을 위한 최선의 방법인가 등 근본적인 물음까지 제기, 바다목장에 대한 평가는 엇갈리고 있다.

그러나 바다목장사업의 성패는 ‘지금부터’라는 데는 이론의 여지가 없다.

풍성하게 조성한 어장을 어떻게 관리하느냐에 따라 바다목장은 수십배의 효과를 창출할 수도 있으며, 다시금 황폐화 될 수 있기 때문이다.

△제1호 바다목장 ‘통영바다목장’

수산자원 고갈에 직면함에 따라 잡는 어업에서 기르는 어업으로 전환키 위해 국책사업으로 추진되고 있는 ‘바다목장사업’ 제1호는 경남 통영 해역이다.

지난 1998년 시도된 통영바다목장은 지난 6월26일 통영시 산양읍에서 지역어민·해수부 관계자 등이 참석한 가운데 통영바다목장 준공식을 가지면서 우여곡절 끝에 비로소 9년여만에 사업을 마무리했다.

특히 통영바다목장은 국내 최초로 시도, 수많은 시행착오와 과제를 안고 있다는 점에서 현재 제주를 비롯해 전남 여수·경북 울진(동해), 충남 태안(서해) 등 4개 지역에서 추진중인 바다목장 사업의 바로미터 역할을 하게 됐다.

26일 준공식에서 발표된 조성과정·성과에 따르면 통영바다목장은 1998∼2006년 통영시 산양읍 삼덕리와 미남리 일대 2000㏊(보호수면 540㏊·수산자원관리수면 1460㏊) 바다에 연구비 130억·시설비 110억원 등 국비 240억원이 투입된 대규모 어자원 조성 사업이다.

관광·체험쪽에 무게를 두기보다는 순수한 어족자원 증대를 위한 ‘다도해형·어업형’으로 추진, 3단계로 진행됐다. 

1998∼2000년(1단계) 환경수용력평가·어장조성 기술 개발 등 바다목장 기반연구, 2001∼2004년 종묘생산·중간육성(2단계), 해역어장조성 등 목장조성, 2005∼2006년(3단계) 방류종의 어획관리·사업투자 효과분석 등 관리체계 구축으로 추진됐다.

이 기간 바다목장에는 통역해역에 가장 적합한 종으로 선정됐던 볼락, 조피볼락, 참돔, 감성돔, 전복, 해삼 등 7종의 어패류 치어 1281만 마리가 방류됐다. 또 서식처 역할을 할 30종류의 인공어초 951개·다시마·미역 등을 키우는 인공해조장 52곳이 조성됐다.

책임연구기관인 한국해양연구원은 어패류가 서식하기 위한 어장조성, 치어 방류를 통해 1998년 118t에 불과했던 자원량이 2006년 현재 909t으로 늘어나는 효과를 거뒀다고 밝혔다.

   
 
  ▲ 어류가 붙지않은 인조 해초 어초  
 
△‘사후관리’가 관건

바다목장 성공과 실패는 조성 과정이 아닌 조성 이후 어떻게 관리하느냐에 달려있다.

240억원이라는 대규모 예산을 투입, 풍성한 연안어장을 조성했지만 철저한 관리가 뒤따르지 않는 한 또다시 어장의 황폐화되는 것은 시간문제라는 게 주변 관계자들의 지적이다.

한국해양연구원 관계자는 “그물로 치어까지 싹쓸이하는 마구잡이식 조업이 성행하면 9년에 걸쳐 조성된 어장이 황폐화되는 것은 한순간”이라고 우려했다.

때문에 바다목장 조성 과정에서도 가장 민감하게 다뤄졌던 문제는 바로 바다목장 내 어업을 규제하는 ‘철저한 어장관리’다.

치어를 아무리 방류한다 할지라도 ‘뿌리면 잡는’식의 어장관리로는 결코 자원이 늘어날 수 없다는 판단에서다.

이에 따라 통영바다목장은 크게 보호수면(540㏊)과 수산자원관리수면(1460㏊)로 구분, 관리규정을 엄격히 적용했다.

인공어초가 집중 투하된 보호수면에는 일체의 어로행위를 금지됐으며, 이를 둘러싼 수산자원관리수면 역시 남획 우려가 있는 그물어업 등은 제한, 낚시 등의 일부 어업만이 허용됐다.

이처럼 바다목장 내 조업이 엄격한 제재가 불가피하면서 지역주민의 적극적인 협조가 필수불가결한 요소로 대두됐다.

일부 어민들은 “9년간 수백억원의 예산이 투입됐지만 어업은 어업대로 못하고 효과는 전혀 모르겠다”며 불만을 토해내는가 하면 치어 방류·조업금지 등 각종 투입·제재조치에 비해 어장조성이 더디다는 불만 또한 쏟아냈다.

보호·관리수면 내에서 그물어업을 하는 등 불법 어업도 적발, 지역민의 공감대 형성과 보호의지가 없으면 바다목장의 성공은 불가능함을 여실히 드러내고 있다.

해수부가 9년동안 조성한 통영바다목장은 지난달 준공식과 함께 통영시에 인계됐으며, 어촌계 등으로 구성된 자율어업위원회가 주최가 돼 어장을 관리하게 된다.

통영바다목장이 성공과 실패 여부는 9년간 조성과정이 아닌 앞으로 2∼3년이 좌우할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