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바다 자원이 사라진다] 9. 제주바다목장 ‘산 넘어 산’
자원증식·관광체험 '두마리 토끼' 잡기
![]() | ||
| ▲ 다이버가 바다 전복 양식장에 먹이로 쓰일 다시마를 갖고 들어가고 있다. | ||
![]() | ||
| ▲ 비양도 인근의 바다 전복 양식장 내부. | ||
9. 바다목장 ‘산 넘어 산’
관광체험•자원증식 ‘두 마리 토끼 잡기’
주민합의•꼼꼼한 전략 뒷받침 돼야
| 가시적인 성과를 보이지 못하던 제주바다목장 사업이 이달부터 본격화된다. 그러나 해결과제도 적지 않다. 그간 일방향으로 사업이 추진되면서 지역민과의 공감대 형성을 이루지 못한데다 사업기간에 쫓기면서 성급한 사업 추진 등이 우려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제주바다목장이 관광체험형 어장 취지를 살리기 위해서는 어장 자율관리를 위한 어업인들과의 합의, 자원보호•수익증대라는 두가지 토끼를 잡을 수 있는 뚜렷한 전략마련이 뒷받침돼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
△ 바다목장 조성 “5년만에 힘겨운 시동”
![]() | ||
| ▲ 제주바다목장 조성도 | ||
당초 계획대로라면 2006∼2008년 어장•자원조성이 이뤄져야 하지만 종묘방류•인공어초 투하 등 어장조성 사업이 전혀 진척을 이루지 못했다. 5년간 30억원이 투입됐지만 기본계획은 ‘장밋빛 청사진’만으로 허술하게 수립, 실천으로 옮겨지지 못했다.
이러한 부실한 사업추진으로 한국해양연구원은 오는 23일로 계약을 마무리, 사업주관처 역시 국립수산과학원으로 변경된다.
국립수산과학원은 기존 한국해양연구원의 기본계획 뼈대는 이어받되 지역민과의 설명회 등을 통해 세부계획은 수정하겠다는 입장이다.
기본계획에 따르면 제주바다목장은 ‘관광체험형’을 목표로 한경면 일대 20㎢에 해양체험공원, 생태자원복원장, 감태자원복원장, 연안자원증식장 등이 조성된다.
체험해양공원은 천연보호구역인 차귀도 지실이도 동쪽만에 조성할 계획이지만 사실상 문화재청의 허가가 불가능한 만큼 지실이도 연안 1㎞ 떨어진 지점에 조성될 전망이다.
생태자원복원장과 감태자원복원장이 고산에서 수월봉 아래 연안, 용수리 인근 연안에 들어서며, 제주바다목장의 핵심 어장인 연안자원증식장은 신창리에서 수월봉 일대에 조성된다.
방류어종은 돌돔•자바리•쏨뱅이•능성어•붉바리•전복•오분자기•소라 등이다.
국립수산과학원은 이 달 중 지역설명회를 갖고 지역민의 의견수렴 후 본격적인 사업추진 및 세부계획 확정에 나선다는 계획이다.
또 하반기 20억원을 투입, 용수리 서쪽에 관광•생태조성형 인공어초 3단지를 조성하고 돌돔•넙치•자바리•까막전복•해삼을 방류하는 등 본격 어장조성에 돌입한다.
△장밋빛 청사진은 ‘그만’
제주바다목장 조성이 본격화되면서 ‘어업소득 증대•수산물 안정공급•레저관광산업 발전•어촌지역 진흥’ 등 당초 바다목장 사업이 내세웠던 사업목표에 다시 지역주민들의 기대가 모아지고 있다.
그러나 사업추진이 본격화 되면서 적지 않은 과제가 모습을 드러내고 있다.
제주바다목장은 관광체험형으로 추진, 자원증식형으로 조성된 통영바다목장과는 성격이 크게 다르다. 특히 도내에서 처음으로 수중공원•수중전망대 등이 갖춰진 해양체험공원이 조성될 것으로 알려지면서 스킨스쿠버 등 해양레저관광객을 유치에 기대를 모아왔다.
그러나 당초 해양연구원이 세웠던 기본계획에 따르면 관광체험시설 사업은 총 350억원의 국고투입 이외에도 민자유치•지방비 등이 투입돼야만 가능하다.
하지만 현재 사업이 전혀 가시적인 성과를 내지 못하면서 민자유치는 커녕 지자체 역시 지방비 투입을 꺼리고 있는 실정이다. 사실상 민자유치 계획은 없던 일이 됐으며 관광체험시설 규모도 상당부분 축소가 불가피하다.
또 당초 수려한 경관으로 볼거리를 지닌 차귀도 해역에 조성하려던 해양체험공원도 사실상 장소이전이 불가피하다.
이처럼 제주바다목장의 성공열쇠인 관광체험 시설계획이 크게 축소되고 변경된 만큼 단지 해중림•인공어초만으로 성공 가능한지에 대한 면밀한 분석, 보완작업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높다.
어장자율관리를 위한 지역민의 적극적인 참여도 전제돼야 한다.
통영사례에서만 보더라도 인근 12개 어촌계가 바다목장사업의 적극적인 참여에 동의했지만 보호수면•수산자원관리수면 설정으로 소규모 어선 등은 어업터를 잃게 되면서 적지 않은 불만을 제기해왔다.
때문에 제주바다목장이 투입예산 350억원 이상의 경제적 효과를 창출하기 위해서는 ‘뿌리면 잡는’ 식이 아닌 어장보호를 위한 어민들의 자율관리, 적극적인 주인의식이 동반돼야 한다.
특히 한국해양연구원은 조사보고서를 통해 2005년부터 목장해역의 이용주체인 5개 어촌계와 합의, 보호•수산자원관리수면을 시급히 지정하고 자원관리•이용 질서 확립 등 바다목장의 철저한 관리가 이뤄져야 한다고 강조했으나 부실한 사업추진으로 여전히 지역민과의 공감대 형성은 넘어야할 과제로 제시되고 있다. < ◆특별취재반=조성익 사진팀 차장대우, 박미라 자치1팀 기자, 김진수 도민기자>
※이 연재는 지역신문발전위원회의 지역신문발전기금으로 이뤄지고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