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탄소없는 섬' 핵심사업 본 궤도에

[탄소없는 섬 제주 세계적 녹색산업 메카로]
올해 녹색산업 가시적 성과 이뤄내야

2014-01-10     김용현 기자
▲ 한경면 신창리 제주한경풍력발전단지 전경. 김용현 기자
제주특별자치도는 신재생에너지사업을 육성하고, 탄소를 줄이기 위해 '2030 탄소없는 섬'(카본프리 아일랜드)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다. 올해는 육·해상 풍력발전단지(지구) 조성과 스마트그리드(지능형전력망) 시범사업 등의 핵심사업이 계획수립과 준비단계를 넘어 가시적인 성과를 이뤄낼 수 있는 중요한 시점이다.
 
△ 육상풍력 지구사업 착공 본격화
 
카본프리아일랜드 프로젝트의 중요한 목표는 2030년까지 전력생산의 원료를 화석에너지 대신 풍력 등의 신재생에너지로 100% 대체하는 것이다.
 
제주도는 2030년까지 350㎿규모로 육상풍력단지를 조성할 계획이며, 난개발과 경관훼손을 막고 지역사회 이익환원 등을 위해 육상풍력발전지구 지정방식을 도입했다.
 
우선 도는 가시·김녕·상명·수망·어음·월령 등 6개 지구에 143㎿규모로 지정했고, 2곳은 인허가 절차가 완료됐다. 또한 나머지 4곳과 제주에너지공사의 동복지구까지 5곳에 대한 인허가를 연초에 완료할 계획이다.
 
비록 지구지정과 사업자 선정 그리고 인허가 심의 과정에서 마찰과 갈등이 발생하기도 했다. 하지만 올해안에 모든 육상풍력발전지구가 착공될 수 있도록 그간의 불협화음을 봉합하고, 도민공감대속에서 진행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 해상풍력 사업 준비 박차
 
카본프리아일랜드 프로젝트가 실현되기 위해서는 제주해양풍력단지 조성사업이 반드시 성공해야 한다.
 
도는 2030년까지 2GW급 해상풍력을 개발해 육상풍력 350㎿와 태양광 100㎿ 등을 합해 전력수요 100%를 신재생에너지로 대체할 계획이기 때문이다.
 
지난해 한림읍 수원리 해상 546만9687㎡의 공유수면이 해상풍력발전단지지구로 지정됨에 따라 수원리 공유수면에 3~7㎿급 풍력발전기 15~33기와 송전선로 등을 설치된다.
 
이에 따라 올해부터 환경영향평가에 대한 도의회 동의를 거쳐 사업허가와 개발사업시행 승인이 이뤄지는 등 해상풍력 사업추진을 위한 준비절차가 본격 추진된다.
 
도는 한림과 함께 대정지역의 공유수면에도 7㎿급 풍력발전기 29기를 건설계획을 추진하고 있다. 하지만 어선주와 어업인 등 상당수 주민의 반대로 사업추진에 제동이 걸린 상황이다.
 
이 때문에 올해내 대정해상풍력단지 조성사업이 본 궤도에 진입할 수 있도록 주민공감대 형성과 합당한 피해보상대책 등을 수립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 스마트그리드 전기차 실용·상용화
 
정부와 제주도는 2009년 12월 구좌읍 지역을 중심으로 제주스마트그리드 실증사업을 추진했해 지난해 5월 사업을 완료했다.
 
올해부터는 실증사업을 통해 개발된 기술과 연구성과를 토대로 실용화모델을 찾는 스마트그리드 시범지역(실용화)으로 추진해야 하는 중요한 시점이다.
 
이에 따라 구좌지역에 한정됐던 스마트그리드사업을 제주전역으로 확대하고, 관광시설과 중문관광단지내 스마트그리드 적용이 시도된다.
 
올해 스마트그리드 시범사업이 성공을 거둬야 내년부터 상용화를 위한 확산사업을 추진할 수 있으며, 최종적으로 스마트그리드 선도도시로 발전할 수 있다.
 
또한 현재 제주도는 360대의 전기자동차가 보급됐으며, 497개의 충전기가 설치되는 등 다른지역보다 전기자동차 인프라가 월등하게 앞서있다.
 
올해 전기차를 민간에 500대 이상 보급하고, 그동안 축적된 스마트그리드시스템과 접목해 상용화 정책을 추진하는 등 전기자동차 선도도시로 도약할 수 있는 발판을 마련하게 된다. 글·사진=김용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