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람'에 맞춘 세탁으로 함께 해요"
골목상권 '희망'을 쓰다 9. 하나로친환경세탁 윤순오 대표
2015-11-15 고 미 기자
지난 2013년 삼성경제연구소가 의미있는 분석 보고서를 내놨다. 한국·일본 성공한 강소(强小)상인 30명의 성공비결을 분석한 결론은 'S.T.R.O.N.G'. '절실함·성실성(Spirit)', '명확한 목표 설정(Target)', '고객관계(Relation)', '고유 아이템(Only one)', '네트워크(Network)', '기본에의 충실(Ground)'의 앞 글자를 모았더니 말 그대로 '힘'이 됐다.
제주특별자치도는 2014년에 이어 2015년에도 어려움을 겪고 있는 골목상권의 경쟁력과 자생력을 높이기 위한 지원에 나섰다.
제주특별자치도 경제통상진흥원(원장 김진석)을 통해 골목상권에 위치한 165㎡ 이하의 소규모 슈퍼마켓, 제과점, 세탁소 및 100㎡ 이하의 일반음식점을 대상으로 시설개선사업(30개소)와 경영컨설팅(100개소)이 이뤄졌다. 올해의 경우 사업제한면적을 100㎡ 이하에서 165㎡ 이하로 상향 조정하고, 지원대상도 일반음식점까지 확대해 점포당 600만원 이내의 시설개선사업과 고객서비스 향상, 경영마인드 혁신을 위한 경영 컨설팅을 했다. '힘'을 얻은 골목상권들의 오늘을 통해 그 비결을 엿본다.
합성세제로 건강 위기…친환경세제 개발에 집중
수차례 시행착오 거치며 세탁 공정별 세제 완성
재료 직접 확보…"환경 지키지 않으면 위험'신념
투자를 통한 '효과'확인, 구두.가방 특화 등 도전
△ 내 몸에 먼저 맞아야
"몸에 바로 닿는 건데 허투루 할 수 있나요. 내 몸이 아프고 나니 더 그 중요성을 알게 됐죠"
'친환경'을 내건 세탁소는 여럿 있지만 실제 세제까지 만들어 사용하는 세탁소는 드물다. 하나로친환경세탁 윤순오 대표(50)는 벌써 10년째 친환경 세제를 쓰고 있다. 세탁소는 윤 대표의 말을 듣기 전 이미 뭔가 다른 느낌으로 채워져 있었다. 분명 익숙한 '세탁소 냄새'가 없었다.
윤 대표가 세탁 일을 시작한 것은 지금으로부터 25년 전이다. 의욕 넘치는 20대 중반 일을 시작하면서 욕심을 낸 것이 화를 불렀다. 한창 사업을 키울 때로 기억했다. "서른 초입인 것 같네요. 한참 일을 늘릴 때였죠. 세탁물이 늘어나고 시간 경쟁까지 하면서 세제사용량도 덩달아 늘었어요. 한 달에 20ℓ 용량의 표백세재를 6~7통을 써댔으니 몸이 남아날리 없었던거죠" 당장 몸에 이상이 생겼다. 기억력이 현저히 떨어지고 팔다리가 굳는 느낌에 일을 할 수 없었다. 그 전에는 없는 피부이상증상까지 생기는 등 일상 생활이 힘들어졌다. 약을 먹어도 증상이 나아지지 않는다 싶었을 때 우연히 '친환경 세제'와 관련한 방송을 보게 됐다. 환경 호르몬이나 인공세제의 유해성 같은 것을 알게 되면서 뭔가 바꿔야 겠다는 결심을 하게 됐다. 윤 대표는 "형광증백제나 계면활성제 얘기를 들어본 적 있냐"며 "세탁을 빨리 하는데는 좋을지 모르지만 그만큼 인체에는 좋지 않다"고 말했다. 대신할 수 있는 것이 없을까. 그렇게 출발한 고민은 지금까지도 윤 대표를 따라다니고 있다. (절실함·성실성.Spirit)
일단 결심은 했지만 답을 찾는 것은 쉽지 않았다. 지금처럼 '친환경'이 대중화되지도 않았던 때라 윤 대표는 약초와 관련한 책은 학술서적까지 구해 읽기 시작했다. 적당한 배합 비율을 찾지 못해 한 3년은 썩은 풀이며 약초, 나무 열매를 따위를 버리고 또 구하기를 반복했다. 인터넷을 뒤져 일본의 천연화장품 정보를 찾은 것이 그를 살렸다. 윤 대표는 "누가 보면 미친 짓이었지만 정말 진지했다"며 "그렇게 시행착오를 한 덕분에 지금은 웬만한 공정은 다 직접 만든 세제로 처리한다"고 말했다.
윤 대표의 말을 증명이라도 하듯 세탁소 곳곳에 친환경 재료가 눈에 들어왔다. 상황버섯에 칡.더덕.하수오 같은 뿌리며 편백, 녹나무, 오미자, 어성초, 각종 해초 등이 건조나 발효 등의 공정을 거쳐 세제가 될 준비를 하고 있었다. 윤 대표는 "왠만한 세탁은 밀가루와 설탕 만 가지고도 충분하다"고 호언했다.
실제 윤 대표가 사용하는 방법이기도 하다. 얼룩의 특성에 따라 배합하는 재료를 바꿔준다. 의뢰가 들어오면 세탁물 특성에 따라 즉석에서 세제를 배합해 쓴다. 한 켠에 세제로 쓸 약초를 계속해 달이는 모습도 여느 세탁소에서는 볼 수 없는 모습이다. 냉장고도 천연 재료 보관용으로 변한지 오래고, 재료별로 습기며 온도 관리까지 애지중지다.
섬유유연제도 직접 만들었다. 윤 대표는 "파라벤이란 성분을 주의해야 한다"며 "구연산이나 무.고구마, 막걸리, 커피를 이용하면 자극적이지 않은 자연향에 섬유도 부드러워진다"고 설명했다. 운동화 찌든 때를 빼고 낡은 가죽옷이나 명품 가방 얼룩과 광택까지 친환경세제만 있으면 해결할 수 있다.
'맞춤형 세탁병원'이란 이름도 내걸었다. 윤 대표는 "실크 같은 동물성 단백질도 친환경세제로 처리할 수 있다"며 "각 재료들이 가지고 있는 차고 따뜻한 성질을 어떻게 다룰지, 서로 만났을 때 어떤 반응을 내는지를 확인하면 가능한 일"이라고 자신했다.
윤 대표는 모나 실크, 레이온 등을 물빨래 처리할 수 잇는 경단백질 세제도 고안해 활용한다. 전문기관에 의뢰해 검증까지 받았다.
수 십 권은 되는 전문서적은 얼마나 읽었는지 손때가 잔뜩이다. 세탁물 접수를 하고 오염 등에 대한 처리를 한 뒤 고객 반응까지 꼼꼼이 정리한 고객 카드는 윤 대표의 보물이나 마찬가지다.
재료들 모두 윤 대표가 산으로 바다로 다니며 직접 구한다. "몇 번 오일장에서 재료를 사왔는데 중간 처리 때문인지 원하는 결과가 나오지 않았다. 재료를 사다가 세제를 만들면 비용부담이 커져서 세탁비를 올릴 수밖에 없어서 직접 발품을 팔기로 했다"
재료들을 가능한 쪄서 자연 건조하는 것도 윤 대표만의 비법이다. 윤 대표는 "몇 번 찌고 오래 말리는 과정이 오래 걸리기는 하지만 잡냄새도 없고 효과도 좋다"며 "먹어도 몸에 무해할 정도"라고 귀띔했다.(명확한 목표 설정.Target)
△'골목대장'효과에 자신감 부쩍
66㎡(20평)가 채 안 되는 공간은 전산화된 시스템 덕분에 효율적으로 활용된다. 세탁한 옷은 접수번호에 맞춰 정리를 하고, 한켠에는 '한 1년은 젊어진' 운동화나 구두가 오와 열을 맞추고 있다. 모자와 가방까지 각각의 특성에 맞춰 처리된 후 제자리로 돌아갈 준비를 한다.
15년 전 현 위치에 간판을 걸었을 때는 그나마 동네 장사가 됐다. 계속해 상권이 커지면서 경쟁업체도 늘고, 일방통행으로 접근성에 제약을 받으면서 다른 세탁소들과 마찬가지로 매출에 변화가 생겼다. 윤 대표는 "그때나 지금이나 소비자는 똑 같다"고 말했다. '믿음'을 주는 것이 중요하다는 얘기다. "'여기 맡기면 깨끗해진다'는 신뢰만 지키면 고객은 늘 찾아온다"며 "이왕이면 가격이 착하고 서비스가 좋은 것을 찾는 것은 불변의 진리"라고 덧붙였다.
친환경세제라고 재료 구하기가 어렵고 만들기 까다로운 것은 아니다. 섬유탈취제로 '계피'만한 것이 없다. 윤 대표는 "계피를 소주에 넣어 한 일주일쯤 둔 뒤에 물을 적당히 섞어주면 좋은 향과 탈취제 효과를 볼 수 있다"고 귀띔했다. 물을 많이 넣으면 부패 가능성이 있으니 아끼지 말라는 팁도 일러준다.
입소문이 나면서 일부러 찾아오는 고객들까지 생기면서 어느 정도 매출을 올리고 있다는 윤 대표지만 도경제통상진흥원 시설개선 및 컨설팅 지원 사업 신청을 하고 반성을 많이 했다고 했다.
윤 대표는 이번 컨설팅을 통해 지원 예산보다 많은 돈을 투자해 세탁소 바닥 등 구석구석을 손봤다. "친환경세제를 만드는 동안 뭐 때문에 사서 이런 고생을 하냐 싶었던 적도 있었다"며 "그만큼 투자를 한 덕분에 지금 이렇게 인정받는 거라고 생각한다. 이번 시설 투자도 마찬가지"라고 정리했다.
이런 모든 과정을 윤 대표는 SNS를 통해 기록하고 있다. 이미지 저장이 가능하고 누군가 필요한 사람과 쉽게 공유할 수 있다는 장점을 십분 활용하고 있다.
윤 대표는 "이정도 하고 보니 사람과 환경이 같이 맞물려 산다는 의미를 조금 알 것 같다"며 "'환경과 건강을 지키는 세탁소'에 대한 생각을 확대하는 것이 목표이자 꿈"이라고 말했다.(명확한 목표 설정.Target) (네트워크.Network)' 고 미 기자